뉴플리머스(New Plymouth) 여행

뉴플리머스(New Plymouth)에 다녀왔습니다. 뉴질랜드 북섬 서해안에 위치한 정원의 도시 뉴플리머스는 우리 부부가 좋아하는 곳입니다.

이런저런 사정으로 올해엔 정원 축제(Garden festival)의 시기는 놓쳤지만 수국(水菊)을 좋아하는 아내가 철쭉(Rhododendron) 철은 놓쳤지만 수국은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하기에 가까이 지내는 선배 부부와 같이 차를 몰고 내려갔습니다.

뉴플리머스에 도착하기 한 시간쯤 전에 세 자매 바위(Three Sisters Rock) 해변이 있습니다. 몇 번이고 이곳을 지날 때마다 세 자매 바위를 보고 싶었지만 물때가 맞지 않아 멀리서 서성거리다 돌아서곤 했었습니다. 그날은 마침 물때가 맞기에 차를 세우고 해변을 걸어 들어갔습니다. 물이 나간 세 자매 해변은 걷기에도 좋았고 멀리 보이는 수평선에 맞닿은 하늘과 더불어 바다는 신비스러운 아름다움을 빚어냈습니다.

세 자매 바위
해변의 가깝고 먼 풍경에 감탄하며 한참을 걷다 왼쪽 모퉁이를 돌자 세 자매 바위가 기다렸다는 듯 우리 부부를 맞아주었습니다. 자연의 신비는 참으로 놀라운 것이어서 오랜 세월 오직 물과 바람의 힘으로 해변에 세 자매의 형상을 닮은 바위를 형성해 놓았습니다. 어림잡아도 20미터는 더 될 큰 키의 세 자매였습니다.

먼먼 옛날에 이 세 자매는 어쩌면 하나의 큰 바윗덩어리였을 것입니다. 그 바위가 셋으로 나뉘어져 오늘의 모습이 될 때까지 끈질긴 인내심으로 바위에 다가와 온몸으로 부딪혀 작품을 만들어 냈을 바다야말로 가장 위대한 조각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든 돌덩어리는 그 안에 상(像)이 있고 그것을 발견하는 것은 조각가의 임무이다’라고 말한 미켈란젤로의 말이 사실이라면 바다는 까마득한 옛날에 큰 바윗덩어리에 숨겨진 세 자매의 상을 발견하였기에 이렇게 멋진 작품을 만들어 냈을 것입니다. 인간의 힘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한 자연의 창조물을 보며 한참이나 감탄하다가 우리 부부는 발걸음을 돌렸습니다.

코끼리 바위
세 자매 바위와 인사를 나누고 돌아오다 왼쪽 맞은편 해안가에 있는 기이하게 생긴 바다 동굴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세 자매 바위를 보려고 부지런히 앞만 보고 갈 때는 미처 보지 못했던 바닷가 암석이었습니다. 어찌 보면 코끼리의 모습을 닮기도 한 모습을 바라보며 우리 부부는 다시 한번 감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저 바위를 잘 보세요. 곡선형으로 아치를 그리며 내려온 바위가 꼭 코끼리 코처럼 생겼지요. 그래서 이 바위를 코끼리 바위라고 부르나 봐요.”하고 어느새 우리 곁에 와 있던 선배가 말했습니다. “아, 그렇군요. 정말 그렇게 보이네요.”하고 나는 선배의 말에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그러면서 속으로는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이라고 노래한 어느 시인의 깨달음에 공감하고 있었습니다.

‘세 자매 바위’라는 목표를 정하고 앞으로만 갔기에 어쩌면 더 귀할 수도 있는 풍경을 놓쳤던 것입니다. 여행에서도, 그리고 가장 긴 여행인 우리의 삶의 여정에서도 우리는 세상이 정해 놓은, 혹은 나 스스로 정한 어떤 목표만을 향하여 너무 급히 나가다가 실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바로 내가 그런 실수를 한 것입니다.

바다의 미풍(微風)
“그만 나가지요. 뉴플리머스까지 가려면 아직도 한참 가야 해요.”하고 돌아서는 선배 부부를 따라 우리 부부도 돌아섰습니다. 돌아서서 다시 해변을 걷기 시작한 우리 일행 위로 한 차례의 부드러운 바람이 쓰다듬듯 보듬고 지나갔습니다. 저 멀리 수평선에서부터 잔잔한 바다 위 물결을 따라 살랑거리며 다가온 바람이었습니다.

그 순간 내 머릿속에 스떼판느 말라르메(Staphane Mallarme: 프랑스의 시인)의 시(詩) ‘바다의 미풍(微風)’의 첫 구절이 떠올랐습니다. 바다와 바람이 어우러져 머릿속 어딘가에 가만히 엎드려 잠들어 있던 기억을 일깨웠나 봅니다.

‘육체는 슬프다, 아아! 그리고 나는 모든 책을 다 읽었구나.
떠나자! 저곳으로 떠나자.’

결코 말라르메가 모든 책을 다 읽었기에 이렇게 외친 것은 아닐 것입니다. 읽어도 읽어도 채워지지 않는 가슴이었기에 육체는 슬프다고 부르짖으며 저곳 미지의 피안으로 떠나자고 스스로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외쳤을 것입니다.

그 순간 나도 나를 돌아보았습니다. 평생 그렇게 살아와서인지 나는 아직도 시간의 대부분을 책에 파묻혀 보내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서인지 근래에는 책을 보아도 머릿속에 잘 들어오지도 않고 또 읽은 내용을 잘 기억도 못 합니다. 그러면서도 습관에 젖어 책을 붙들고 씨름합니다. ‘그래 나도 이제는 책을 놓아주어야겠다. 그리고 책 너머에 있는 보다 넓고 큰 어딘가로 떠나야겠다.’라고 나는 혼자 속삭였습니다.

나이가 들어도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아직도 마음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지식욕 때문일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 지식욕이라는 목표 때문에 오늘 ‘세 자매 바위’만 찾으며 ‘코끼리 바위’를 놓쳤던 것 같이 나는 내 삶에서 다른 많은 것을 놓쳤을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이제는 나이가 들어 모든 가진 것을 내려놓아 심신을 가볍게 해야 할 땐데도 책만은 쉽게 놓지 못한 것은 그 또한 미련이고 욕심이었습니다.

육체를 만족시키는 쾌락을 추구하는 정욕도 문제이지만 정신을 만족시키는 희열을 추구하는 지식욕도 문제였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기억력도 떨어지고 집중력도 모자라는데 억지로 책을 붙들려고 했던 내 모습이 안타깝게 느껴졌습니다. 이제는 책을 포함한 모든 것을 내려놓고 지금 알고 있고 가지고 있는 것만이라도 제대로 나누며 두루두루 많은 것을 살피며 살아야겠다고 다짐할 때 바다로부터 다시 부드러운 바람이 불어와 얼굴을 스쳤습니다.

“바닷바람이 참 상쾌하네.”라고 말하며 나는 옆에 있는 아내의 손을 잡았습니다. 그리고 가벼운 걸음으로 해변을 걸어 나왔습니다.

이전 기사3월 둘째 주 찬송/3월 셋째 주
다음 기사미스트롯 . 미스터트롯
김 동찬
서울대 영문학과 졸업. 사업 하다가 1985년 거듭남. 20년 간 Auckland Christian Assembly를 장로로 섬김. 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라는 성현의 말씀에 힘입어 감히 지나온 삶 속에서 느꼈던 감회를 시(詩)와 산문(散文)으로 자유롭게 풀어 연재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