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제함으로 스마트폰을 스마트하게 사용하자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이 주는 유익은 대단하다. 그간 기술의 진화로 새롭게 등장했다 사라지는 것들이 많았다. 삐삐, 시티폰이 등장했다 사라졌고, 디지털 카메라가 필름 카메라를 퇴출시키고 있는데, 그 디지털 카메라조차도 스마트폰 카메라에 밀리고 있다.

스마트폰을 대중화시킨 아이폰이 등장한 것은 2007년으로 불과 몇 년 전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어떤 기술이 등장해 우리의 미래를 바꿔놓게 될까? 현재의 어떤 것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까? 어떤 혁신과 기술이 상상하지 못했던 제품과 서비스를 탄생시킬까?

북미 최대 정보기술(IT) 온라인 매체인 ‘테크 크런치(Tech Crunch)’는 5년 안에 사라질 5가지를 예견하였는데, 그중 두 가지는 역시 스마트폰의 파워가 어떠한지를 보여준다.

퇴출 전망 1위는 현금, 수표책, 신용카드, ATM등으로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 핀테크의 진화로 모바일 결제가 신용카드 사용을 몰아낼 것이기 때문이다. 대신에 ‘디지털 지갑’이 미래의 현금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 제조사로부터 유통업체, 이동통신사, 금융권까지 도입중인‘모바일 페이 서비스’가 현금과 신용카드를 몰아낸다. 특히 SK텔레콤이 선보인 블루투스 활용 ‘BLE(블루투스 저 에너지)페이먼트’는 근거리 무선통신망(NFC)을 이용하기 때문에 음식점이나 마트에서 결제할 때 스마트폰을 가방 속에서 꺼낼 필요도 없이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된다. 이쯤 되면, 스마트폰 없이는 구매가 불가한 때가 온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 퇴출될 것으로 전망되는 것 중 하나는 리모컨이다. 예를 들어 아마존의 에코(Echo)와 같은 ‘음성 비서’가 일상화되어 말만 하면 텔레비전을 틀어주고 채널을 바꿔준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모든 모바일 기기를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순기능 때문에 스마트폰은 이제 모든 사람들이 다 소유하는 생필품이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오용으로 인한 역기능이 주는 피해도 이루 말할 수가 없는데, 바로 중독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치매 시대 & 스마트폰 사용 중독 시대
술, 담배, 마약 등 백해무익한 것들의 중독과는 달리 스마트폰의 중독 문제는 조금 다른 방향에서 바라봐야 한다. 백해무익이라 하기에는 유익이 많기 때문이다. 특정 연령층이 아닌 광범위한 연령층에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그에 따른 중독과 질환, 사건 사고 또한 늘어나고 있다.

20세기 초, 현재의 과학기술의 위험성을 예견한 사람이 있었다.
“I fear the day technology surpass our human interaction. We will have a generation of idiot. 과학기술이 인간사이의 소통을 뛰어넘을 그날이 두렵다. 세상은 천치들의 세대가 될 것이다.” 알버트 아인스타인 (Albert Einstein)의 예견이다.

지나친 우려일까? 엄밀히 말하자면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자들은 계속 스마트해지지만 그저 사용만 하는 유저user들은 우둔해진다는 말이다. 창조성을 가진 인간이 생활의 유익을 위해 만들어낸 기계에 대한 우위가 명확했었으나, 과학기술이 점점 더 발전하면서 기계에 하나 둘 자리를 내어주고 있다.

스마트폰은 점점 스마트해지는데 사람들은 ‘디지털치매’라는 새 진료과목과 만나게 되었다. 디지털 기계들에 의존하다 보면 언어, 기억, 지능, 의식 등의 감퇴가 일어난다. E-health가 부각되며 디지털 알츠하이머 센터 (Digital Alzheimer Center) 도 생겨났다. 기계는 실수도 거의 안하며 기억력도 좋아 스마트폰과 밤낮으로 동거 동락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먼저 스마트폰 중독 진단을 해보자. 다음 중 한가지라도 해당이 된다면 스마트폰 중독이라 보아야 한다.
1. 나는 스마트폰을 하루에 2시간 이상 사용한다. 2. 나는 SNS메시지가 올 때마다 바로 확인한다. 3. 나는 스마트폰 때문에 가족과 싸운 적이 있다. 4. 나는 숙제나 일을 하다가 스마트폰 때문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5. 나는 친구나 가족들과 노는 것보다 스마트폰과 노는 것이 더 재미있다. 6. 나는 화장실 갈 때마다 스마트폰을 가져간다. 7. 나는 스마트폰을 집에 두고 외출하면 불안하다.

스마트폰을 보며 보행하는 사람들의 교통사고가 늘고, 최근에는 ‘스몸비’(smombie)라는 스마트 폰과 좀비의 합성어도 생겨났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거북목과 손가락 관절염, 손목터널 증후군, 젊은이들이 노안이 된다는 기사들도 쉽게 접할 수 있다.
미국 실리콘 밸리 (Silicon Valley)의 발도르프 (Waldrof) 학교를 세운 루돌프 슈타이너 (Rudolf Steine)는 인지학 창시자로서‘교육은 인간 대 기계가 아닌 인간 대 인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며 발도로프 학교는 만 12세까지는 디지털 기계에 학생들을 노출시키지 않고 인지발달에 필요한 독서와 운동을 장려한다고 한다.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구글,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 회사의 임직원들 자녀가 그 학교 학생의 70%라고 한다. 하지만 만 12세 이후부터는 컴퓨터를 체계적으로 가르친다고 한다.
스마트폰과 사람이 윈윈 (win-win) 하는, 즉 인간의 창조성과 인간유익의 과학기술발전을 유지할 수 있는, 인간과 기계의 효율적인 업무 분담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거룩하게 구별된 크리스천들은 중독으로부터 어떻게 자유 할 수 있을까? 골로새서 3장 5절은 탐심은 우상숭배라고 말하고 있다. 하나님이 아닌 술, 담배, 마약, 스마트폰 등에 빼앗긴 마음을 되찾아야 한다. 빼앗긴 마음은 결코 자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과용과 오용으로 인해 마음을 빼앗기고 마는 중독을 피하기 위해서는 예방차원의 교육, 즉 하나님의 말씀인 절제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므로 아들이 너희를 자유케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하리라”(요한복음8:36)

이전 기사소셜 미디어와 보험의 관계
다음 기사마지막 잎새
서승현
한우리교회 전도사, 대한기독교 여자절제회 뉴질랜드지회 총무로 중독예방 강의, 우크숍, 청소년 절제회 캠프를 통해 뉴질랜드 한인 사회를 섬기고 있다. 연재를 통해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금주, 금연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뿐만 아니라 술, 담배, 마약, 도박 등의 해악을 널리 알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