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본주의 부모 교육

<자료_한국가족문화상담협회 >

인본주의 부모 교육 이론은 로저스와 액슬린의 인본주의 심리학을 바탕으로 기노트(Haim Ginott)에 의해 발달된 이론이다.

인본주의 부모 교육의 핵심은 아동의 행동 이면에 있는 감정을 이해하려는 사고와 아동을 인격적으로 대우하는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 액슬린의 영향을 받은 기노트는 아동 중심 놀이 치료의 기본 원리를 부모 자녀 관계에 적용시키려 하였다.

그는 심리적 어려움으로 오는 아동의 문제 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모가 애정을 가지고, 아동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기노트는 부모가 자녀의 행동 이면에 있는 정서를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한 부모 자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고 보았다.

또한 부모가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동에 대한 경험이나 지식의 부족, 그리고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특히 부모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인본주의 부모 교육은 아동의 행동 이면에 있는 감정을 살피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가 상담자, 심리치료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부모가 아동의 심리 상태를 이해함으로써 부모 자녀 관계가 돈독해지고, 상호관계가 원활해지며, 문제 행동의 해결책을 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점을 중요시한다.

칭찬에 대한 문제
다른 부모 교육 이론과는 달리 인본주의 부모 교육에서는 칭찬을 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보고 있다. 이는 아동 중심 놀이 치료에서 나온 것으로 칭찬을 하게 되면 칭찬을 받기 위해 자신의 본래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주변 사람의 요구대로 행동하게 되어 의존성을 발달시킨다.

아동이 내면으로 원하고 있는 애정과 관심을 기울여주면 굳이 칭찬의 말을 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칭찬을 하더라도 ‘너무 착하다’, ‘예쁘다’ 등 성격이나 외모에 관한 칭찬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며, 과정에 대한 노력이나 성취적인면에 대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칭찬과 격려의 차이점
<칭찬>
*통제 방법:외적 통제(네가 내 말을 들을 때에만 가치가 있다)

*향상 기준:절대적 기준(네가 내 기준을 충족시킬 때에만 너는 가치가 있다)

*평가:외적 평가(타인이 어떻게 보는가가 중요)

*기여:개인적 이익이 우선(너는 최고다. 항상 너는 남보다 우위에 있어야 가치가 있다)

<격려>
*통제 방법:내적 통제(나는 네가 책임감 있고 독립적인 존재임을 믿는다)

*향상 기준:노력과 향상(노력과 향상이 중요하다)

*평가:내적 평가(자신이 어떻게 느끼는가가 중요)

*기여:기여한 점의 가치 인정(네가 있으면 도움이 된다)

행동 이면의 감정 이해
부모는 아동이 보이는 행동이나 들려주는 이야기의 이면에 있는 감정을 이해해야 한다. 아동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흔히 아동과 눈높이를 맞추어야 한다는 말이 감정적인 측면에도 이용될 수 있겠다.

또한 아동이 표현하고 있는 감정에 대해서도 수용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부모의 수용적인 태도는 아동에게 좀 더 깊은 내면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문제 행동을 해결하는 하나의 해결 방안이 된다.

이럴 때에 주의할 점은 자녀를 이해시키기 위해 설명을 한다든지 부모의 생각을 설득시키려는 태도를 가져서는 안 된다. 아동에게 자신의 감정이 어떤 것인지 인식시켜 주는 것도 중요하다.

부모가 아동의 감정을 반영해주는 것에 의해 아동 자신의 감정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것을 스스로 문제 해결책을 찾아가는 통찰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아동의 행동 지도:기본적 제한
인본주의 부모 교육에서 말하는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과 수용은 아동이 표현하는 감정적인 면으로, 행동은 기본적 제한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무제한의 자유는 아동을 도리어 불안하게 한다.

아동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기본적인 제한(basic limitation)은 설정되어야 한다. 기본적인 제한에는 자신이나 타인에게 피해가 되는 공격적 행동이나 공공질서를 파괴하는 행동의 금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제한을 가할 때에의 세 단계
첫 번째 단계: 아동이 보이는 행동 이면의 감정을 읽어준다.

두 번째 단계: 제한을 분명하고, 단호한 어조로 말해준다.

세 번째 단계: 감정을 표현할 대안을 마련해준다.

예를 들어, 화가 나서 물건을 걷어차는 아동이 있다면, 우선 “네가 정말 화가 났구나”라고 말해준다. 그 다음에 “그렇지만 물건을 걷어차면 안돼”라고 단호한 목소리로 말해주고 “대신에 공은 걷어차도 괜찮아”라고 대안을 제시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