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양육상담

<자료_한국가족문화상담협회 >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신의 문제로 인해 상담실을 방문하기 보다는 자녀 문제로 상담실을 찾는다. 이때 부모는 당혹감은 물론 죄의식을 느끼며, 후회하고, 책임감을 느끼면서 자기 비난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 부모는 자녀가 그 문제로 인해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지, 자녀의 삶에 그 문제 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보다 자신의 문제에 점점 더 빠져든다.

그 이유는 부모가 자녀의 문제에 투사되어 문제 자체에 정서적 거리를 두기 어렵기 때문이다.
잠자러 갈 때마다 아이와 투쟁하는 부모는 아이의 입장이 아니라 그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여 화를 내고 짜증을 내면서 아동의 문제에 투사된다.

두 번째 이유는 부모가 전치(displacement) 현 상을 겪으면서 다른 것에 대한 감정과 생각을 아이의 문제에 옮기기 때문이다(Halstead, 2011). 아이를 잃어버렸다가 찾게 되면 기쁨과 안도감보다 아이에게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는 것은 바로 두려움에 대한 부모의 전치 현상이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자녀에게 적합한 상담자를 찾아주는 것 자체가 부모 역할의 실패가 아니라 자녀가 겪는 어려움을 도와주려는 사랑과 배려의 행동이라는 것을 확신시켜 줄 필요가 있다.

또한 자녀상담을 할 때 상담자는 부모와 긍정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부모는 상담자에게 자녀의 문제로 비난받고 무시 받기보다는 지지를 받고 싶어 한다. 그러나 초보 상담자의 경우 부모에게 정서적 지지를 하기 앞서 부모에게 자녀양육 방식의 빠른 변화를 요구할 때가 있다.

상담자가 아동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지라도 상담자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받지 못한 부모는 상담에 대한 두려움이나 의혹이 점점 커지면서 조기 종료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담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상담자와 부모가 자연스럽게 상담의 협력자로서 자녀상담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부모상담의 진행은 자녀양육에 대한 상담이나 실질적인 교육으로서의 전환이 되어야 상담을 종결시킬 수 있으므로 본 장에서는 부모상담 안에서 자녀양육상담을 살펴보고자 한다.

부모상담의 과정
부모상담시간은 기관과 상담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아동상담 40분 진행 후 10~20분 정도 진행될 수 있다. 기관에 따라 부모상담 시간이 길어지면 별도의 비용이 부과되는 곳도 있다.

대부분 부모상담 시간을 30~50분 정도 갖는데, 일반적으로 부모상담 시간을 너무 길게 잡지 않는 편이다. 이 시간은 아동의 연령과 아동의 주 호소 문제에 따라 다르게 적용 될 수 있다. 부모상담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동상담 시간과 구분하여 따로 일정을 잡아 진행하기도 하다.

이렇게 하면 아동이 밖에서 기다리지 않아도 되고 방해도 덜 받게 되므로 부모와 충분한 시간을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정은 상담자와 부모가 별도의 시간을 내는 것이 가능할 때 부모와의 합의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런 시간을 자주 갖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우므로 기관의 특성, 아동의 문제, 부모 개인의 특성 등을 고려 해서 부모상담 시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어떤 부모들은 상담자가 아동과 보내는 시간보다 부모와 보내는 시간을 더 길게 갖기를 원한 다. 부모가 상담 과정에서 상담자와 오랜 시간을 함께하고 싶어 한다면 부모 개별상담이 필요해서인지, 정서적 지지를 더 받고 싶어서인지 등의 부모 욕구를 파악하고 명료화하는 시간을 가져 야 할 것이다.

또한 상담자는 다양한 이유로 몇 주 동안 부모상담에 참여하지 않는 부모에 대해 서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부모상담에 참여하는 대상은 부모 외에 아동의 삶에 관련된 중요한 양육자들을 모두 포함시킨 다. 부모가 실제적인 양육을 담당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출생 후 3년까지는 할머니와 지내다가 최근 부모와 함께 지내는 경우가 있고, 할머니와 부모가 시간을 달리하여 동 시에 양육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담자는 아동 상담에 대한 계획을 갖고 있듯이 부모상담의 목표를 별도로 계획해야 한다.

부모의 주 호소
접수 과정에서 부모의 주 호소 문제에 대해 대략적인 파악이 이루어지기는 하 지만 상담자는 부모의 주 호소 문제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 상담자는 아동의 발달적 보고에 서 드러났던 부모의 호소 내용들을 부모에게 요약해 주고, 또 다른 어려움은 없는지에 대해 질문 하면서부터 상담을 시작한다.

상담을 통해 아동의 무엇이 달라지기를 기대하는지에 대한 질문도 부모의 주 호소 문제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부모의 기대는 곧 상담을 통해 아동이 달라 져야 할 변화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모의 기대와 상담 과정을 통해 아동이 드러내는 변화가 매번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서 부모의 기대에 대한 명료화는 부모에게 상담 과정에 대해 설명할 때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