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끼는 음반

세상에서 가장 호사(豪奢)스러운 색깔이 무엇이냐고 누군가가 묻는다면 나는 두말없이 까망이라고 답합니다. 까망은 모든 색깔을 담고 있으며 어떤 까망은 그 안에 소리까지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말하는 지금 이 순간에 내 손엔 동그란 까망이 들려있습니다. 음반입니다.

턴테이블에 음반을 올려놓을 때 나는 가끔 그 까망을 한참씩 들여다봅니다. 잔잔한 윤(潤)을 내며 안으로 가라앉는 듯 보이는 그 소박한 색깔이 잠시 후 그 위에 내려앉을 바늘을 소리 골로 인도하며 스스로의 몸을 소진하면서 뿜어낼 아름다운 음악을 생각하면 그 동그란 까망이 그렇게 사랑스럽고 또한 호사스러워 보일 수가 없습니다.

어느 음반인들 사랑스럽지 않은 음반이 없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애착이 가고 또 아끼는 음반이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음반의 하나가 클라라 하스킬(피아노)과 아르투르 그뤼미오(바이올린)가 연주한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소나타 집입니다.

두 장의 음반이 한 세트로 되어있는 이 소나타 집에는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소나타 6곡이 들어있습니다. 제가 소장하고 있는 음반들이 꽤 많지만 그중에서 꼭 10장만 남겨야 하는 상황에 처한다면 이 음반은 반드시 그중의 하나가 될 것입니다.

안동림 교수는 그의 저서 ‘이 한 장의 명반’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특히 이 모차르트의 ‘소나타 집’은 당대 최고의 두 연주가의 혼연일체가 된 명연주로 길이 역사에 남을 명반(名盤)으로 손꼽힌다. 이 레코드에서는 클라라 하스킬의 따뜻하고 유연하며 또 음악적으로 순도 높은 피아노가 표현의 주도권을 쥐고 2중주를 진행시키며 아르투르 그뤼미오는 그 아름다움과 풍만한 표정을 억제하면서 하스킬의 피아노에 맞추기 위해 청초하게 연주하기 때문에 다시 없는 앙상블을 이룩하고 있다.’

모차르트와 바이올린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폴드 모차르트(Leopold Mozart)는 음악사에 이름이 남을 정도의 훌륭한 바이올리니스트였습니다. 이런 아버지의 영향으로 모차르트도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 실력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그가 피아노를 더 좋아했기에 피아노곡을 작곡하는데 더 많은 비중을 두었습니다. 그가 불과 8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남긴 데 비해 27곡의 피아노 협주곡을 남긴 사실은 그의 피아노 사랑을 증명해 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많은 바이올린곡을 작곡했고 그 곡들에서 바이올린은 아름답고 화려하게 기쁨으로 약동하며 바이올린 특유의 소리를 마음껏 발산합니다. 그는 40곡이 넘는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했습니다.

피아노가 악기의 중심을 이루던 그 당시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피아노 소나타에 바이올린 반주를 붙인 형태였습니다.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소나타도 예외는 아니어서 먼저 작곡된 많은 곡은 바이올린의 존재가 무색할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작곡된 곡들은 피아노의 우위 속에서도 그 아름다운 소리를 뿜어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소나타 집에는 K 301, 304, 376, 378, 454, 526의 6곡이 들어있습니다. 6곡 모두가 아름답지만 그중에서도 K 304와 마지막 곡 K 526은 절창입니다.

Violin Sonata in E minor, K 304

모차르트의 많은 바이올린 소나타 중 유일한 단조의 이 곡은 많은 사람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꼽는 곡입니다. 1778년 작곡된 이 곡은 어머니 마리아 안나가 죽은 해입니다. 고생 끝에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슬픔 때문이었는지 이 곡에는 고독하고 어두운 그림자가 들어있습니다. 모두 2악장으로 되어있습니다. 1악장은 두 악기의 유니슨으로 연주되는 잔잔한 슬픔의 가락이 주제입니다. 2악장은 서정적인 피아노와 트릴이 많은 바이올린의 화려함과 어울리며 단조 특유의 슬프도록 아름다운 선율을 이끌어냅니다.

Violin Sonata in A, K 526
K 304와 더불어 가장 많이 연주되는 바이올린 소나타입니다. 그때까지 소나타 연주에 있어서 건반 악기의 보조적인 역할만 하던 바이올린을 건반악기와 대등하거나 오히려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하려는 모차르트의 창의적인 시도가 제대로 이루어진 곡이 바로 이 K 526입니다.

또한 이 곡은 모차르트가 바이올린과 건반악기를 위해 남긴 마지막 곡입니다. 이 곡을 잘 들어보면 그때까지의 소나타에서 피아노의 선율 위로 떠다니기만 했던 바이올린이 이제는 당당하게 자신의 소리를 드러내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피아노가 3도 아래의 바이올린을 수반하여 제1 주제를 시작하는 1악장, 장조와 단조가 절묘하게 바뀌며 영롱한 소리의 색깔을 들려주는 안단테의 2악장, 의외로 큰 악장이면서 마지막에 피아노가 담당하는 선율의 역할을 바이올린으로 대치하려는 모차르트의 과감한 도전이 보이는 3악장이 이 곡을 듣는 내내 우리를 긴장시킵니다.

오늘 이 곡들을 클라라 하스킬(피아노 1895-1960)과 아르투르 그뤼미오(바이올린 1925-1986)가 연주한 명반(名盤)으로 듣습니다. 흔히 ‘궁정 악사’라고 불리는 우아한 바이올리니스트 그뤼미오와 ‘피아노의 성녀’라고 불리는 하스킬은 모두 최고의 거장이지만 병마로 인해 비운의 일생을 살아야 했던 하스킬의 이야기를 잠깐 하고 음악 감상을 하려 합니다.

클라라 하스킬(Clara Haskil)
1895년 루마니아의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난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였다. 악보도 읽을 줄 몰랐던 5살 때 그녀는 한번 들은 모차르트 소나타 한 악장을 외워서 연주했다. 후에 이 ‘신동’을 가르쳤던 거장 알프레드 코르토는 석 달 만에 “더 가르칠 게 없다”고 말했다. 하스킬은 파리 음악원을 입학 4년 만에 피아노와 바이올린 두 부문을 수석으로 졸업했다.

피아노 세계의 미래가 그녀에게 활짝 열렸지만 18살 그녀를 덮친 것은‘다발성 신경경화증’이라는 불치의 병이었다. 뼈와 근육, 그리고 세포가 엉겨 붙는 이 무서운 병에 그녀는 꼽추가 됐고 20대의 아름다운 외모는 노파 같은 얼굴로 변해 버렸다. 23살의 그녀에게 남은 것은 고독과 절망뿐이었다.

하지만 음악의 위대한 힘과 불굴의 의지로 병을 이겨낸 하스킬은 1921년 모차르트를 연주하며 다시 무대로 돌아와서 ‘모차르트의 모차르트’라는 찬사를 들으며 재기에 성공했다. 곱아드는 손가락 끝으로 영롱한 소리를 엮어내는 그녀의 모습은 진정 ‘기적’이었다. ‘20세기의 위대한 피아니스트’라는 책에 하스킬의 이야기가 나온다.

카라얀을 만나러 잘츠부르크에 갔던 러시아 피아노계의 대모 타치야나 니콜라예바가 그날 음악회에서 하스킬을 처음 보았다. “하스킬이 무대에 등장하는 모습은 실망스러웠다. 구부정한 자세에 희끗희끗한 백발은 흡사 마녀 같았다…… 하지만 그녀가 두 손을 건반 위에 올려놓는 순간, 카라얀의 존재는 내 머리에서 사라져 버렸다. 내 얼굴에는 눈물이 흐르고 있었다. 최고의 모차르트 연주자를 발견한 것이다.”

하스킬은 1960년 12월 6일 브뤼셀 지하철 계단을 내려가다 굴러떨어져 머리에 큰 부상을 입었다. 다음날 66회 생일을 한 달 앞둔 12월 7일 아침, 하스킬이 숨을 거두며 동생에게 남긴 마지막 말은 “그래도 손은 다치지 않았잖니!”였다고 한다.

이날 음악 감상 뒤에 본 하나님 말씀은 로마서 5장 1-4절입니다

  1.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 2 또한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믿음으로 서 있는 이 은혜에 들어감을 얻었으며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하느니라 3 다만 이뿐 아니라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 4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 세상에서는 많은 환난을 당하지만 믿음으로 이겨낼 때 소망을 이룰 수 있습니다. 하스킬도 이런 믿음을 가졌을 것입니다.
이전 기사364호 크리스천
다음 기사스티븐슨의 “지킬박사와 하이드”
김동찬
서울 문리대 영문학과를 졸업, 사업을 하다가 1985년에 그리스도 안에서 다시 태어났다. 20년간 키위교회 오클랜드 크리스천 어셈블리 장로로 섬기며 교민과 키위의 교량 역할을 했다. 2012년부터 매주 화요일 저녁 클래식음악 감상회를 열어 교민들에게 음악을 통한 만남의 장을 열어드리며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