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을 자주 출입해야 하는 나는 입국신고서에 직업을 써야 할 때 몇몇 이상한 나라들을 빼놓고는 주저하지 않고 ‘선교사’라고 기재한다. 지난 35년이 넘도록 선교의 목적이 아닌 곳은 거의 가본 적이 없었다.
어느 날 둘째 딸이 유달리 많이 보고 싶었다. 나하고 DNA가 같다고 자타가 인정하는 사이다. 대학 시절부터 자주 집을 떠나 살아온 별난 딸이었다. 심지어는 2014년 에볼라 전염병이 창궐하던 시기 Mercy 배를 타고 서아프리카 베닌이라는 들어보지도 못한 나라에 가서 의료봉사를 몇 달씩 하고 돌아오기도 했었다.
잠시 돌아왔던 둘째 딸이 다시 호주로 떠났다. 타즈마니아라는 섬에 취직이 된 것이다. 왜 그런 곳만 골라서 가냐고 말렸으나 아빠 닮아서 그렇다고 핑계를 대고 가방을 싸 들고 떠났다.
그 후 임기가 끝날 즈음 뉴질랜드로 다시 올 줄 알았는데 그 길로 바로 새로 취직이 된 영국의 멘체스타로 가게 되었다는 연락을 받게 되었다. 자식이 5명이나 되니 한두 명쯤 다른 곳에 살게 해도 괜찮다는 아내와 나는 달랐다.
주변에 물어도 아는 사람이 없는 가깝고도 먼 타즈마니아로 황급히 나도 가방을 싸게 되었다. 태평양 오지의 파도와 정글산악을 넘나들던 내가 그리운 딸 만나려고 타즈만 해협을 건너게 된 것이다.
이른 아침 집을 나선 후 오후 늦게야 마음졸이며 도착한 호바트 공항. 딸이 예약해 논 셔틀버스를 타고 시내로 들어오긴 해도 어디가 어딘지 오지에서도 느껴보지 못한 겹친 피로와 방향 상실까지. 딸은 근무 중이라 오후 5시까지 혼자서 로얄 호바트병원 근처에서 두 어 시간 기다려야 했다. 바퀴 달린 20킬로짜리 짐을 끌고 인근 한 카페에 들어섰다.
순간 나도 모르는 사이 타즈마니아의 놀라운 신비 속으로 이끌려 들어가고 있었다. 타즈마니아에는 본토 등 타지역으로 떠나지 않고 이곳에 남아 대를 이어오는 고집스런 토박이들이 호주 어느 지역보다 많다고 한다.
처음 들어선 필그림(Pilgrim) 커피숍. 하나님 나라를 찾아 평생 방랑하던 켄터베리 순례자라는 뜻이 생각났다. 벽돌 실내 분위기는 좀 어둡고 무거웠지만 다가오는 한 밝은 미소가 마치 백열 전기 스위치가 켜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하였다.
인근을 둘러보고 싶어도 무거운 짐 가방에 붙들려있고 어깨에 멘 가방까지 돌덩이 같다. 눈치 빠른 주인 여자는 가방을 모두 그냥 놔두고 주변을 둘러보라고 한다.
이때부터 나의 마음은 서서히 생소했던 어두운 타즈마니아에게 다가가고 있었다. 모퉁이 빵집에서 샌드위치 하나를 시켜 천천히 먹었다. 주위도 이리저리 둘러본 후 필그림으로 돌아오니 주인 여자가 웃으며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 옆에 그토록 보고 싶은 딸이 어느새 와 있었다.
딸 숙소는 멀지 않았고 식민지 시절 건축된 양식의 석조 건물 3층에 위치한 방이었다. 작은 발코니와 모퉁이 창문이 마음에 들었다. 가난한 예술가들이 지냈을 것 같은 분위기다.
다음 날 아침 딸은 일찍 출근하였다. 집 잃지 말라고 주소를 써서 목걸이 해준 것을 몇 번이고 확인하면서 나도 길을 나섰다. 거리는 길고 조용했다. 이상할 정도로 해가 솟아오른 지 오래 되었건만 거리는 어두웠다.
독립서점(Fullers Book Shop)이 보인다. 들어가 보니 책이 엄청 많다. 일본 관련 책들이 의외로 많은 걸 봐서 일본인들이 이곳에 와 은밀히 정착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맞나 보다.
한 하이쿠 서적이 동양적 시향을 풍기며 호바트 책방에서 나와 시선이 마주치게 되었다. 붉은 실로 꿰맨 표지가 특이하다. 사고 싶었다. 호주 돈은 뉴질랜드보다 더 세다는 강박관념이 선뜻 이 멋진 책을 사지 못하고 망설이게 한다. 게다가 앞면 표지에 약간 긁힌 자국이 있다.
이때 내 곁을 지나치던 매니저라는 30대 여자가 그 책을 받아 들고 자신의 테이블로 간다. 특별 할인해 주겠다는 것이었다. 이때 책보다 서점 매니저의 온유한 자태에서 품어져 나오는 타즈마니안의 밝은 미소에 빠져들어 가고 있었다.
문구점에 들어갔다. 연필 몇 자루와 만년필 잉크도 샀다. 재고품이라고 싸다. 문구류에 무슨 유행이 있으랴 차라리 묵어서 더 좋다. 하루 종일 이렇게 돌아다녔다. 나는 걷기만 했는데 나의 의식은 내 속에 자리 잡은 감수성과 기억과 억제되어온 감성과 이루지 못한 소원들의 기억과 안타까움, 갈등, 아쉬움, 소년 청년 시절의 추억을 따라 걷기도 했다.
상점과 길과 Tea와 앙상해져 가는 나무 아래 사람들과 서점, 문구점, 박물관, 부둣가, 토요시장, 섬에서 또 다른 작은 섬으로…
나는 브루니섬.으로 가는 초겨울 아침 선상에 있었다. 커피 한잔으로 찬바람에 얼어드는 몸을 감싼다. 브루니섬은 아는 게 없지만 타즈마니아 원주민의 마지막 역사를 간직한 곳-나를 강한 충동으로 이끌었다.
브루니섬은 관광지로 개방되었지만 참 소박하고 자연 그대로라서 가는 곳마다 문명인들의 마음의 고향을 느끼게 하는 분위기였다. 비운의 원주민들의 역사를 접하며 계속 떠나지 않던 타즈마니아를 덮고 있는 암울함과 어두운 그림자 같은 느낌을 갖게 한 비밀의 문이 서서히 열리는 것 같았다.
결국 브루니섬 이곳 토박이라는 안내소 여직원에게 용기를 내어 질문을 시도하게 되었다. 다소 시골 처녀처럼 수줍어 얼굴이 붉어지며 그러나 차분하게 타즈마니아의 역사를 내게 말하는 그의 모습은 증인석에 앉은 마지막 타즈마니아 원주민 모습으로 투영되는 듯하였다. 슬프고 비참했던 근대역사를 말하고 있는 그 여인의 입가엔 여전히 너무나 밝고 아름다운 미소가 멈추지 않았다.
그들 타즈마니아 내면에 흐르는 슬픈 식민지의 역사가 있었다. 우리에게도 분명히 있었던 그러한 역사가 타즈마니아서의 숨겨진 내면의 모습을 보게 했는지도 모른다.
19세기 50년간 악명높은 정치범 유형지로 이어졌던 비운의 타즈마니아 섬. 그 후손들이 고난의 역경을 웃음으로 이겨 가며 지켜온 이 땅 타즈마니아.
유배지의 땅을 이토록 아름다운 곳으로 지켜오기까지 이들에게 한과 눈물대신 밝은 미소가 있었던 것이다. 참 훌륭한 사람들이구나.
깊고 치유될 수 없는 식민지의 아픔을 밝은 웃음으로 식민지의 노래를 부르며 이겨낸 타즈마니아 사람들을 위해 이렇게 주님께 기도를 드렸다.
“상처받고 슬픈 역사를 겪으면서도 밝은 미소와 소망으로 이겨낸 이들입니다. 긍휼히 여기시고 치유해주셔서 이들의 후손들이 복음의 능력 가운데 ‘이겨내기 위한 미소’가 아닌 ‘행복해서 짓는 미소’의 타즈마니아가 되게 해주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