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4장 23-25절 말씀
“저에게 의로 여기셨다 기록된 것은 아브라함만 위한 것이 아니요 의로 여기심을 받을 우리도 위함이니 곧 예수 우리 주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를 믿는 자니라 예수는 우리 범죄함을 위하여 내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심을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Romans 4:23-25(New International Version)
“The words “it was credited to him” were written not for him alone, but also for us, to whom God will credit righteousness–for us who believe in him who raised Jesus our Lord from the dead. He was delivered over to death for our sins and was raised to life for our justification.”
직/의역: NIV 성경을 기반으로 재 번역하다
“그가 의롭다함을 인정받았다”는 말은, 아브라함만을 위한 것이 아닌, 하나님께서 의롭다고 여겨 주실 우리, 곧 우리 주 예수를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살리셨음을 믿는 자들을 위한 것이다. 예수는 우리의 범죄함으로 인에 죽음으로 넘겨지셨고, 우리를 의롭게 하시려 살아나셨다..”
단어공부
Alone:(형용사, 부사) 혼자, 다른 사람 없이, 혼자 (힘으로), 단독으로, 외로운
말씀의 나눔 믿음이란 하나님의 말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상식적으로는 절망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속에서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자신은 반드시 자식을 가질 수 있다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그리고 하나님을 향한 이 믿음은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는 하나님의 말씀의 능력을 체험할 수 있도록 아브라함 자신을 변화시켰다. 믿음은 약속, 곧 하나님의 말씀을 의심하지 않는 것이다. 믿음이 있다는 것은 하나님의 약속 곧 그분의 말씀을 의심치 않는 것이고, 믿음이 없다는 것은 그 말씀을 의심하는 것이다. 또한 믿음은 ‘gave glory to God, being fully persuaded that God had power to do what he had promised –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약속하신 그것을 또한 능히 이루실 줄을 확신하는 것이다.’ 바울 사도는 이렇게 말한다. ”그러므로 이것을 저에게 의로 여기셨느니라 – This is why “it was credited to him as righteousness(롬 4:22-23)”
하나님의 말씀을 붙들고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떠났던 아브라함에게는 수많은 인생의 문제들이 놓여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하나님을 향한 그의 믿음을 더욱 강하게 만들어 주었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이 인생의 문제들 또한 우리의 믿음을 강하게 해 줄 것이라 믿는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우리는 하나님은 죽은 자를 살리시는 하나님이심을 믿어야 하고, 하나님은 창조주 하나님이심을 믿어야 하며, 우리는 바랄 수 없는 중에 바라고 믿어야 하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말도 안 되는 환경 속에서라도 절대로 믿음이 약하여 지지 아니하고, 믿음이 없어 하나님의 약속을 의심치 않아야 하며, 눈앞에 소망이 안 보여도 오히려 믿음에 견고하여져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것을 또한 능히 이루실 줄을 확신하여야 한다.
바로 이러한 삶을 살았을 때, ”이것을 저에게 의로 여기셨다 기록된 것은 아브라함만 위한 것이 아니요 – The words “it was credited to him” were written not for him alone”란 말씀이 우리에게 적용될 것이다. 이것은 무슨 의미일까? 그것은 ‘Justification by Faith – 믿음을 통한 칭의’가 오로지 아브라함에게만 적용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아브라함은 오로지 혈통적으로 유대인들의 조상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사람이 아니라 우리 믿는 모든 사람들에게 믿음의 조상으로서 그 믿음의 중요성과 가치를 모든 인류에게 알리시고자 하나님께서 세우신 모델인 셈이다.
바울 사도는 아브라함의 믿음의 본을 예수 그리스도와 우리의 관계에 적용시키고 있다. ”의로 여기심을 받을 우리도 위함이니 곧 예수 우리 주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를 믿는 자니라 – but also for us, to whom God will credit righteousness–for us who believe in him who raised Jesus our Lord from the dead(롬 4:24).” 그렇다! 아브라함의 믿음이 그를 의롭게 해 주었다. 그리고 이 시대는 이 믿음의 문제를 이와 같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그 믿음에 적용시켜야 한다.
이 말씀(롬 4:24-25)은 우리의 믿음이 가지고 있어야 할 세 가지 조건을 이야기하고 있다.
첫째, Jesus our Lord – 예수를 우리의 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예수님을 나의 주인으로 섬기는 일은 다른 말로 내가 예수님의 종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당신은 지금 예수님의 종된 삶을 살고 있는가? 예수님의 종으로 산다는 것은 내 생각, 내 뜻이 아닌 예수님의 말씀을 따라 사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who raised Jesus our Lord – 하나님께서는 그렇게 십자가에 죽으신 그분을 삼일만에 다시 살리셨다. 그리고 이처럼 예수 그리스도를 살리신 그 하나님께서 이 시대의 교회에게 새로운 생명을 주셨다.
세 번째,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는데 그 이유가 바로 다름 아닌 내 죄 때문임을 믿어야 한다. ”예수는 우리 범죄함을 위하여 내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심을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 He was delivered over to death for our sins and was raised to life for our justification(롬 4:25).”
모든 사람은 죄인이며, 그 죄의 대가는 죽음이다. 이처럼 죄는 우리의 생명을 요구한다. 따라서 예수께서 나 대신 십자가를 지고 죽으셨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은 단순하게 사람이 죽었다가 다시 산 것이 아니라 모든 믿는 자들에게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칭의’라는 목적을 완성시킨 것이다.
그렇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위에서의 죽음은 우리의 죄를 말갛게 씻기시기 위한 것이며 그분의 부활은 이전의 나는 죽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부활한, 곧 거듭난 나에게 하나님께서 새 생명을 주셨다는 것을 말하며, 더 나아가 예수 그리스도의 이 부활 사건은 모든 믿는 자를 의롭다 하시는 하나님의 선언이기도 하다. 따라서 성도는 말씀이 육신이 되신 예수뿐 아니라 죽음에서 부활하신 예수도 믿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부활의 사건이 하나님께서 디자인하신 믿음으로 의에 이르는 것을 완성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우리에게 ‘Do you understand me? – 너 나를 이해할 수 있겠니?’라고 물으신 적이 없다. 왜 그러셨을까? 대답은 단순하다. 믿음은 하나님을 ‘이해 – understand’해야 하는 것이 아닌, 그분을 ‘신뢰 – trust’하고 ‘믿는 – believe’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우리에게 ‘Do you trust me, or do you believe me?’라고 물으시는 것이다.
혹시 아직도 이해가 가지 않는 인생의 문제들이 있는가? 괜찮다. 한계를 가진 인간이 무한하신 하나님을 이해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 한 일이다. 하지만 일단 믿어보자! 그분을 신뢰해 보자! 그러다 보면 나와, 교회와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말씀이, 그리고 그분의 사역이 반드시 이해될 날이 올 것이다.
영어 한마디! Is it safe to walk the streets alone at night here(there)?
여기(거기)는 밤에 거리를 혼자 걸어 다녀도 안전한가요?
I was sitting all alone in the hall.
나는 강당(홀)에 아무도 없이 혼자 앉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