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5장 20-21절 말씀
“율법이 가입한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 이는 죄가 사망 안에서 왕 노릇한 것 같이 은혜도 또한 의로 말미암아 왕 노릇 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에 이르게 하려 함이니라.”
Romans 5:20-21(New International Version)
“The law was added so that the trespass might increase. But where sin increased, grace increased all the more, so that, just as sin reigned in death, so also grace might reign through righteousness to bring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직/의역: NIV 성경을 기반으로 재번역하다
“율법이 들어와서 범죄가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죄가 늘어난 곳에는 은혜도 더욱 풍성해졌다. 그래서 죄가 죽음으로 군림하게 된 것처럼, 은혜가 의를 통하여 군림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영생을 가져다주었다.”
단어공부
Reign:(동)군림하다, 다스리다, 통치하다, 상승하다;(명)통치 기간, 치세
말씀의 나눔 바울 사도는 앞서 로마교회의 성도들에게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한 가지 범죄의 결과로 많은 사람이 정죄에 이르게 되었던 것처럼 두 번째 아담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의의 한 행동으로 많은 사랍이 의롭다 하심을 받고 생명에 이르게 되었고 한 사람 아담의 불순종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죄인이 되었던 것처럼 또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순종으로 많은 사람이 의인이 될 것이라 말했다.
로마교회를 향한 바울 사도의 율법에 대한 설명이다. “율법이 가입한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 – The law was added so that the trespass might increase. But where sin increased, grace increased all the more.” 언뜻 보면 그냥 읽기에 좀 어려워 보이는데 이 말씀의 헬라어 원문은 “노모스 데 파레이셀댄 히나 플레오나세 토 파랍토마”라 기록하는데 우리말로 직역해 보면 ‘그리고 범죄를 더하게 하려고 율법이 끼어들어 와 있게 되었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이것은 아담이 죄를 지은 후 꽤나 많은 시간이 지나고 또한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 오시기 이전 모세를 통하여 율법이 주어진 이유가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헬라어 원문의 말씀대로 이렇게 ‘율법이 아담의 범죄와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 사이에 끼어들어 오게 된 것’을 우리말 성경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라고 기록하지만 실은 이것은 우리 인간으로 하여금 더 많은 죄를 짓게 하기 위함이 아니라 우리에게 죄가 무엇인지 알게 함으로써 왜 예수께서 오셔야 했는지 그 당위성을 알게 해준다.
또한 이것은 율법의 두 가지 목적을 알려주는데, 첫째로 우리로 율법으로 하여금 우리에게 죄가 무엇인지 알게 해 내가 하나님 앞에 죄인임을 고백하게 하고, 둘째, 율법은 죄인된 우리를 그 죄를 깨끗게 해주실 예수 그리스도께로 인도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율법은 아담의 범죄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역 중간에 끼어들었던 것이다. 그러나 말씀은 이렇게 끝나는 것이 아니라 “But where sin increased, grace increased all the more –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라고 하면서 ‘율법으로 인해 죄가 더한 곳에 하나님의 은혜가 더욱 넘쳐나게 되었음’을 이야기한다.
그렇다! 등불이 더욱 빛을 발하게 하는 때는 어두움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이다. 이와같이 율법으로 인해 죄가 더 많이 드러나면 날수록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은혜는 더욱 크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라고 하는 말씀은 죄인들을 향한 하나님의 은혜가 더 이상 넘쳐 흐를 수 없을 정도로 풍성한 상태’를 말한다.
NASB는 ‘더욱더 풍성하게 있었다 – abounded all the more’NIV는 ‘더욱 증가하였다 – increased all the more’라고 번역하고 있는데 이것은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가 지은 죄책보다 얼마나 더 큰 것인가를 알게 해준다.
내가 죄인임을 깨닫게 될 때 우리는 그 죄에 압도당하게 된다. 사탄은 그 틈을 타고 들어와 우리로 하여금 ‘네가 저지른 짓이 얼마나 큰 죄인 줄 모르겠어? 너는 절대로 용서받을 수 없을 거야!’라고 윽박지르지만 실제로 하나님께서 용서하실 수 없는 죄는 이 땅에 존재할 수 없다. 이것은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가 저지른 죄보다 더 크고 풍성해서 우리의 모든 죄를 모조리 덮어버리고도 남을 만큼 엄청난 것이란 말씀인 것이다.
이어지는 21절 말씀, “이는 죄가 사망 안에서 왕 노릇 한 것 같이 은혜도 또한 의로 말미암아 왕 노릇 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에 이르게 하려 함이니라 – so that, just as sin reigned in death, so also grace might reign through righteousness to bring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라는 말씀은 죄와 은혜에 대한 결과 값을 비교해 준다. 그렇다! 이 말씀은 죄가 사망 안에서 죄인들에게 왕 노릇하였던 것처럼 예수를 믿어 의에 이르게 된 성도들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 또한 그 믿음의 의를 통하여 성도들에게 왕 노릇하게 하여 죽음에서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도들을 영생에 이르게 하기 위함이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아담으로 인한 죄가 우리 위에 ‘reigned – 군림하여’ 왕 노릇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그 죄의 ‘삯 –price’이 사망이었기 때문이다. NIV성경이 말하듯 ‘sin reigned in death – 죄가 사망 안에서 왕노릇 하다’라고 하는 표현은 모든 사람이 의심할 수 조차 없이 아주 확실하게 죄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은혜는 의로 말미암아 믿는 자들에게 왕 노릇 하기 시작하게 되었다 이야기 하는데 이렇게 그 은혜가 믿는 자들에게 왕 노릇 할 수 있는 근거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루어 놓으신 ‘through righteousness – 의’를 통하여 가능하단 이야기다.
하지만 이처럼 죄와 은혜가 동일하게 사람들에게 ‘reigned, or might reign왕 노릇’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이가 있는데 그것은 그 죄의 왕 노릇의 대상은 한 사람도 빠짐없이 모든 인류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은혜의 왕 노릇의 대상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에게만 적용되는 아주 제한적인 것이다.
죄의 값인 사망의 왕 노릇은 인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모든 인류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지만 하나님의 은혜인 영생의 왕 노릇은 인간의 의지와 전혀 무관하지 않을 뿐 아니라 믿음이라는 것에 반응하는 자들에 한하여만 제한적으로 임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사망의 왕 노릇은 거부할 수 없는 것이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인한 영생의 왕 노릇은 사람들에게 거부되어질 수 있으며 오로지 이것을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자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주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곳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죄가 왕 노릇 하는 자의 결말은 ‘Death – 사망’임에 반해 하나님의 은혜가 왕 노릇 함의 결과는 ‘Eternal Life – 영생’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곧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통해 그분께서 친히 이루어 놓으신 그 의를 통하여 이미 이루어진 하나님의 은혜 안에 거하는 자만이 영생을 누리는 삶을 살 수 있음을 말한다.
이것이 복음이며 이것이 세상이 줄 수 없는, 그리고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지닌 가치다. 우리 모든 인류가 가진 아담과의 ‘관계 – connection, or relationship’은 태어나면서부터 맺어진 뗄래야 뗄 수 없는 필연적 ‘regiment – 연대’로서 이것은 ‘selection – 선택’에 의한 것이 아닌 ‘congenital – 선천적’인 것이다.
인간을 대표하는 자로서 아담이 범죄하고 이로 인해 사망이 모든 인류에게 왕 노릇 하게 되었다. 한 사람 아담의 범죄함으로 인해 ‘The many – 많은 사람’이 죽었다. 이처럼 죄의 원리의 근원은 아담과 나의 관계와 연대성에서 나온다. 그러나 은혜의 원리의 근원은 그와는 비교할 수 없는 바로 하나님이시다. 그리고 이 원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그 믿음으로 새롭게 거듭난 내 자신과 예수 그리스도와의 그 관계성 때문에 나의 삶 속에서 영원히 살아 움직일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은혜는 성도들의 삶 속에서 죄의 세력을 이기게 하는 힘을 제공해 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