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음악회에 가다

음악과 책 통해 이민자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쉼터 열어

[ 리하르트 스트라우스곡 해설 ]

교향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오늘의 연주곡을 듣기 전에 곡에 대해 김동찬장로가 해설을 해주었다. 교향시(symphonic poem 또는 tone poem)는 주로 단악장의 교향악 악곡으로, 음악 외적인 이야기나 묘사를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교향시의 소재는 시, 소설이나 이야기, 회화 등 다양하다.

이 낱말은 프란츠 리스트가 자신의 13개 단악장 교향악곡에 붙인 이름에서 처음 쓰였다. 이 곡들은 고전적인 의미의 순수한 교향곡이 아니었는데 왜냐하면 이 곡들은 신화와 낭만주의 문학, 당대사, 환상 이야기의 주제를 다루었기 때문이다. 즉 이것은 추상이 아닌 “표제”가 있는 음악인 것이다.

짜라투스트라는 조로아스터의 독일식 발음
바그너가 니체를 좋아했고 니체도 처음에는 바그너를 좋아했었다. 바그너를 숭배하는 리하르트도 니체의 철학을 좋아했다. 짜라투스트라는 조로아스터의 독일식 발음으로 ‘낙타를 잘 다루는 사람’ 이라는 뜻을 가진 조로아스터는 기원전 6백년경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를 창시한 사람이다.

니체는 조로아스터교와 불교에 심취했었고 따라서 ‘신은 죽었다’ 로 대변되는 철학서를 썼다. 이 책에 나오는 3가지 정신의 변형은 대개 아래와 같다.
1. 낙타의 단계: 모든 것에 순종 숭배하며 짐을 짊어진다.
2. 사자의 단계: 모든 것을 깨뜨리고 자유독립 폐허를 외치며 인간의 굴레를 벗는다.
3. (사자가) 어린이가 되는 단계: 모든 가치가 전복되고 새로운 출발이 시작되면 초인이 탄생한다(Ubermensch).
니체에 의하면 ‘사람은 동물과 위버멘슈 사이를 잇는 밧줄, 심연 위에 걸쳐 있는 하나의 밧줄’ 에 불과하다고 했다.

리하르트의 전작품 대표할 정도로 손꼽히는 명곡
1896년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라는 철학서에 감명받아 리스트가 이룩한 교향시라는 음악형식과 바그너의 표현 수법을 융합하여 리하르트가 작곡한 곡이다. 이 곡은 리하르트의 전작품을 대표할 정도로 손꼽히는 명곡으로서 각 연주회의 주요 레퍼토리로 연주되고 있다.

그때까지 아무도 엄두도 못냈던 철학의 음악화를 시도했기에 찬탄과 비난을 함께 받는 곡이다. 소나타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처음엔 조용하고 낮은 C音으로 밤의 장막이 걷히고 새벽이 다가옴을 나타내는 장중한 자연의 주제가 트럼펫에 실려 시작되다가 재현부에서는 스케일이 큰 관현악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제 1곡 Einleitung/일출
제 2곡 Von der Hinterweltlern/후세 사람들에 대해
제 3곡 Von der grossen Sehnsucht/크나큰 동경에 대하여
제 4곡 Von der Freuden und Leidenschaften/ 환희와 정열에 대하여
제 5곡 Das Grablide/무덤의 노래
제 6곡 Von der Wissenschaft/학문(과학)에 대하여
제 7곡 Der Genesende/평온한 자
제 8곡 Das Tanzlied/무도의 노래
제 9곡 Das Nachtwandler lied/몽유병자의 노래

[화요음악회에 가다 ]

음악과 책 통해 이민자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쉼터 열어

지난 7월 5일 화요일 저녁 7시 30분 오클랜드 데본포드에서 스탠리 포인트의 캘리오프 로드와 글렌로드가 만나는 모퉁이 길가에 90여년 가까이 된 아르데코양식의 건물 아래층에서 160회 화요음악회(김동찬장로, 조윤희권사)가 열렸다.

음악과 책 만날 수 있는 좋은 의미의 사랑방 역할 해
그곳에는 김동찬장로의 아내인 조윤희권사가 미리 준비해 준 아로마향 속에 진한 원두커피나 따뜻한 차 한잔과 부라우니케이크 한 조각을 들고 앉으면 마음이 편안해 진다. 함께 한 이들과 같이 지나온 일상에 대해 듣고 나누게 된다. 화요문화원도 따로 마련되어 있어서 미리 전화(09 445 8797)를 주고 오면 한국어로 된 책을 무료로 보거나 빌려갈 수 있다.

289_life_cover1“가까운 분들과 함께 음악 듣고 하나님 말씀을 나누다 보니 4년이 지났다”는 김장로 부부

화요음악회를 열게 된 김장로는 “뉴질랜드의 한인기독인들은 구역모임이나 성경모임 아니면 예배형식으로 모여 신앙을 나누지만, 보다 여유를 가지고 편안한 가운데 서로의 삶을 나누면서 공감하고 공유할 필요를 느끼게 되어 첫 화요음악회를 2012년 3월 16일 저녁에 가졌다.”고 했다.

이어서 김장로는 “먼저 사람들을 만나고 대접하는 것을 좋아하는 아내가 흔쾌히 동의”를 해 주어 “그동안 전문적으로 모은 LP판이나 CD들을 소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나름대로 오디오도 갖추고 있어 가까운 분들과 함께하다 보니 벌써 4년 4개월이 됐다.”고 하면서 지나온 음악회를 되짚어 봤다.

화요음악회를 통해 예수를 알게 되어 영접하고 세례를 받기도 하고, 인연이 되어 결혼하는 복된 일도 있었다. 또한 작년 12월 22일에는 음악인과 문학회원 그리고 다도회원이 참석하여 2015년 송년음악잔치도 열었다.

고전음악이나 오페라 쉽게 해설하고 음악 들려줘
화요음악회에 관련된 내용은 다음 카페 (http://cafe.daum.net/invitedlife) 초대받은 사람들의 삶에 회원가입하고 들어가면 1회부터 160회까지의 화요음악회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화요음악회는 1년 에 약 40회 정도로 열렸고 160회를 맞는 동안 4년 4개월의 시간이 흘렀다.

289_life_cover2지난 2015년 송년음악잔치에서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연주를 들어

160회 화요음악회에서 첫 연주는 지난 주에 5번 협주곡을 들었던 앙리 비외탕(1820-1881)의 바이올린 협주곡 4번 D단조 op.31을 감상했다.

김장로는 “비외탕은 프랑스에서 활동한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이다. 유명한 7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있는데 그 중 4번과 5번이 가장 많이 연주된다.”며 “다듬어진 정서와 장대한 형식으로 인해 종종 5번보다 4번이 더 낫다는 평을 듣는 곡이다. 호불호는 개개인의 취향에 맡기고 오늘 들어보자.”고 했다.

이어서 “보통의 협주곡이 3악장으로 되어있는데 이 곡은 4악장으로 되어있다. 그만큼 작곡가의 교향곡적인 의도가 들어있다. 따라서 관현악이 바이올린의 종속적 위치보다 대등한 관계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우아하고 아름다운 1악장으로 시작되어 장중하고 화려한 4악장으로 마무리된다.”고 하면서 “오늘은 Itzhak Perlman의 Violin 연주와 Daniel Barenboim이 지휘하는 Orchestre de Paris의 협연으로 듣는다.”고 말했다.

리하르트의 호른 연주곡과 교향시 연주곡 감상
잠깐의 휴식시간을 갖고 나서 김장로가 다음 연주곡으로 소개한 “리하르트 스트라우스(1864~1949)의 명 호른주자였던 아버지 프란츠. J. 스트라우스는 뮌헨음악원의 교수와 왕립 바이에른 실내악단 주자로 활동했고, 바그너를 싫어했으며 브람스 음악의 동조자이기도 했다. ‘호른의 요아힘(당시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이란 별명까지 가졌던 아버지의 영향을 당연히 리하르트가 받았을 것이다.”고 알려줬다.

“뮌헨대학 학생이었던 그는 1883년에 첫 번째 호른 협주곡을 썼고 그 뒤 거의 60년의 세월이 흐른 뒤 1941년 2번째 호른 협주곡을 썼다. 그 세월의 간극을 그의 호른 협주곡들을 통해 느껴보기 위해 오늘 2번을 듣고 다음 주에 1번을 듣자”고 했다.

289_life_cover3화요음악회에서 테이블에 둘러 앉아 일상에서의 삶도 서로 나눠

또한 연주곡에 대해 “흔히 1번은 멘델스존적이라 평하고 2번은 진정한 스트라우스적이라고 한다. 길이는 조금 더 길지만 오히려 더 실내악적인데, 이는 나이가 든 스트라우스가 실내악의 음향이 보다 이상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마지막 3악장 론도의 독주부는 화려하게 돌진하는 느낌을 주는데 78세 노인의 삶의 기쁨을 나타내는 듯하다.”며 “1악장: Allegro 2악장: Andante con moto 3악장: Rondo(Allegro moto)연주곡을 호른의 귀재라 불리는 Denis Brain의 연주로 듣는다.”고 말했다.

Denis Brain은“한참 그의 명성이 올라가던 1957년 9월1일 그가 좋아하던 스포츠카를 몰고 연주를 마치고 런던의 집으로 귀가하다 나무를 들이받고 36세의 나이로 죽었기에 사람들의 가슴을 아프게 만든 French Horn의 비르투오소였다. 할아버지, 아버지, 그 자신, 3대에 걸친 호른 계의 명문 가계였기에 더욱 사람들의 가슴 속에 남아있다.”고 소개해 주었다.

160회 화요음악회 마지막 연주곡으로는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리하르트가 교향시 “Also sprach Zarathustra op.30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로 작곡한 곡을 Ormandy가 지휘하는 Philadelphia Orchestra의 연주로 들었다.

289_life_cover5연주곡을 듣기 전에 쉽게 설명 해 주어 친숙하게 음악을 이해하게 돼

음악회 마치기 전에 하나님 말씀도 나눠
음악회를 마치기 전에 “가로되 우리가 너희를 향하여 피리를 불어도 너희가 춤추지 않고 우리가 애곡하여도 너희가 가슴을 치지 아니하였다” (마태복음 11장 17절)를 통해 “우리 믿는 사람들은 아직 믿지 않는 사람들이나 혹은 믿음이 확실치 않은 분들을 위해 얼마나 간절히 그리고 열심으로 피리를 불었고, 또 애곡했는지 한번 생각해 볼 기회를 갖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했다.
다음 주 화요음악회는 리하르트 스트라우스를 중심으로 듣기로 했다.

음악, 그 보이지 않는 세계의 무한한 가능성을 찾아서
‘감미로운 소리, 오 아름다운 음악이여,
그치지 말아다오
다시는 나를 세상 속으로
돌려보내지 말아다오’

…더욱 발그레 수줍어지는 진공관의 불빛을 마주하고 음악의 세계로 빠져들어 갈 때에 나는 곧잘 미국의 여류시인 밀레이의‘베토벤의 교향곡을 듣고서’라는 시의 두 구절을 떠올린다.

나도 그렇게 되고 싶다. 보이는 것이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몰아치며 횡행하는 이 황량한 세상에서, 보이는 것만이 전부인양 그것에만 집착하여 매달리는 사람들의 틈바귀에서 벗어나 음악, 그 보이지 않는 세계의 무한한 가능성을 찾아 끝없는 여행을 떠나고 싶다.

이미 내 손에는 이 아름다운 세계에의 초대권-오디오-이 주어져 있지 않은가? 주어진 이 초대권의 자리가 B석이든 A석이든 혹은 R석이든 그 위치에는 너무 연연하지 않겠다. 오히려 앉은 그 자리에서 가슴을 활짝 열고 귀를 곧추세우고 음악을 제대로 들어 바르게 이해하는 연습에 열중해야겠다.‘이해한다는 것은 동등해짐을 뜻한다.’라는 라파엘로의 말이 사실이라면 더욱 열심히 들어 이해함으로써 언젠가 나도 내가 그렇게 사랑하고 존경하는 음악가들과 동등해지는 날이 올 수도 있을 테니 말이다.
1991년 가을 석운 씀
-1991년 3호‘스테레오 음악’(중앙일보사 간행)오디오 잡지에 기자의 청탁으로 썼던 글 중에서

김동찬장로는 1985년 그리스도 안에서 다시 태어났고, 1996년부터 오클랜드 크리스천 어셈블리에서 장로로 하나님과 사람을 섬기다가 지금은 양무리교회(장인수목사)에서 섬기고 있다. <하나님의 인치심>의 F.C.페인과 <알라바스트론>의 주디스 고울딩의 책을 번역하여 각각 2002년과 2010년에 ‘나남’에서 출판했다.

이승현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