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둘째 주 찬송/통 538장 예루살렘 금성아
중세교회 개혁운동 일으킨 클뤼니 수도원
클뤼니의 버나드(Bernard of Cluny, 12C)는 프랑스 베네딕도회 수도사로, 시인이며 풍자 작가입니다. 그에 대한 출생 연도나 가문이나 거처에 대한 정보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생트 소뵈르 디니앙(St. Sauveur d’Aniane)의 수사로 서임을 받고 클뤼니 수도원에 들어가 베드로 수도원장(Peter the Venerable, 1122-56) 시대에도 사역했습니다.
당시 클뤼니 수도원은 부와 명성의 정점에 있었습니다. 프랑스의 어느 곳과도 비교할 수 없는 아름다운 교회 건축물, 정교한 예배 의식은 어떤 수도원도 도달하지 못한 위치와 영향력을 부여했습니다. 그러나 훌륭하고 사치스러운 환경 속에서도 클뤼니의 버나드는 그 시대의 악덕과 어리석음을 날카롭게 꾸짖는 풍자시 ‘세상에 대한 경멸’(De Contemptu Mundi)을 지었습니다.
무려 3천 행이나 되는 이 시는 교회의 타락과 부도덕성에 대해 신랄하게 풍자하며 사제, 수녀, 주교, 수도사를 가리지 않고 로마 가톨릭교회까지 무자비하게 난타했습니다.
예컨대 천국과 지옥에 대한 정교한 묘사는 이후 단테의 어법으로도 나타납니다. 타지 않는 불구덩이, 얼어붙는 불, 벌레 삼키기, 불같이 뜨거운 홍수, 그리고 다시 황금으로 아름답고 영광스러운 낙원과 천국의 찬란함 등 천국과 지옥이 번갈아 가며 등장합니다. 섹스와 술, 돈, 학문, 위증, 점술 등의 사악함과 교황과 임원, 교회 법인, 특사, 성직 매매 등 성직자의 모든 비리 등을 무차별하게 비판합니다.
그의 시는 첫 권에서 교회에 대한 세상의 비웃음을, 두 권은 죄에 대한 심판과 죄에서 돌이키게 하는 회개의 목적입니다. 클뤼니의 버나드가 이끄는 클뤼니 수도원은 수도원 개혁운동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이 시는 플라치우스(Matthias Flacius Illvricus)가 ‘교회의 부패한 상태에 관한 다양한 시’(Varia poemata de corrupto ecclesiae statu, 1557) 중 하나로 출판되었고, 17세기와 18세기에 개신교도들이 재 인쇄했습니다.
통일 찬송가 538장 “예루살렘 금성아”(“Urbs Syon aurea, patria lactea, cive decora”)는 장시 ‘세상에 대한 경멸’ 제3부에서 가져온 것으로 천국에 대한 영광스러운 묘사입니다. 닐(John Neale)이 번역하였습니다(“Jerusalem the Golden”).
“예루살렘 금성아 복 가득하도다
내 너를 생각할 때 마음이 기쁘다
비할 데 없는 복과 그 빛난 광채와
나 받을 모든 기쁨 다 측량 못하리”(통 538장 1절)
“Jerusalem the golden, with milk and honey blest,
Beneath thy contemplation sink heart and voice opprest.
I know not, O I know not, what social joys are there,
What radiancy of glory, what light beyond compare.”(J.M.Neale 영역 1절)
이처럼 클뤼니의 베르나르가 이끄는 클뤼니 수도원은 수도원 개혁운동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8월 넷째 주 찬송/69장(통33장) 온 천하 만물 우러러
주님 말씀 따라 사도의 길 걸은 성 프란시스 아시시의 성 프란시스(St. Francis of Assisi, 1182-1226)는 이탈리아의 수사로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호화로운 생활 방식을 버리고 청빈, 금욕, 봉사, 겸손, 단순함을 추구하며 하나님과 인류에 대한 봉사의 생애로 프란체스코 수도회를 설립했습니다. 그는 낡은 예배당과 성지를 복원하고 설교하고 찬송(‘laudi spiriti’: 이탈리아 민요를 개작)하며 가난한 사람들과 나병 환자들을 도왔다. 자연과 동물을 사랑하는 것으로 유명한 그는 생태학의 수호성인입니다.
사치스럽고 부패한 종교계의 타락에 염증을 느꼈던 당시 많은 이들이 프란시스 주변에 모여들면서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는데, 이를 ‘작은 형제회’라고 불렀습니다. 이들은 각자 독립적인 조직으로 발전하여 1회(신부와 수사), 2회(수녀), 3회(평신도 등)로 아시시의 프란시스의 수도 규칙을 따르는 수도회들로서 프란치스코 수도회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 프란시스는 갈색 수도복에 허리띠를 묶은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 띠에는 가난, 순결, 순종이라는 프란치스코회의 서약을 상징하는 세 개의 매듭이 있습니다.
예컨대, 성 프란시스의 ‘평화의 사도’ 모습은 무슬림 세계와의 화해를 들 수 있습니다. 1219년 5월, 제5차 십자군 전쟁 당시 프란시스는 무슬림에게 선교할 목적으로 십자군의 배를 탔습니다. 십자군의 담당 사목자였던 추기경과 함께 병영을 떠나 목숨을 걸고 무슬림 진영으로 향한 것. 그들은 체포되어 온갖 곤욕을 당한 후 말리크 알 카밀 술탄 앞에 끌려갔으나 술탄은 프란시스의 순수하고 참된 마음으로 기도하는 모습과, 평화를 설교하며 사심 없는 사랑에 감복하여, 한 달 동안 매일 만났습니다.
술탄은 프란시스와 의형제를 맺고 프란시스에게 무슬림의 점령하에 있는 성지를 방문하고 설교할 수 있는 여행 허가서도 내주었으며 아름답게 조각된 상아 나팔을 선물로 주었습니다(이 나팔은 현재 아시시의 대성전에 성인의 유물로 보관되어 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술탄은 비밀리에 개종하거나 세례를 받았다고 합니다.
성 프란시스가 지은 찬송 시는 우리 찬송가 69장 “온 천하 만물 우러러”(“Altissimu, omnipotente bon Signore”)가 실려 있습니다. 성 프란시스가 1225년에 시편 148편을 바탕으로 이탈리아의 움브리아(Umbria) 방언으로 지은 ‘태양 송가’(‘Laudes Creaturarum’) 중 일부입니다.
“온 천하 만물 우러러 다 주를 찬양하여라
할렐루야! 할렐루야!
저 금빛 나는 밝은 해, 저 은빛 나는 밝은 달
하나님을 찬양하라
할렐루야! 할렐루야! 할렐루야!”(69장, 1절)
“All creatures of our God and King
Lift up your voice and with us sing
O praise Him! Alleluia!
Thou, burning sun with golden beam
Thou, silver moon with softer gleam
O praise Him! O praise Him!
Alleluia! Alleluia! Alleluia!”(William Henry Draper 영역 1절)
이 글은 필자가 진행하는 유튜브‘김명엽의 찬송교실’에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