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588장(통307장) 공중 나는 새를 보라

번역, 창작, 편집으로 찬송가 기틀 마련한 민로아 선교사
연세대가 2013년 11월 8일, 도산 안창호(1878-1938) 선생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했습니다.

도산 선생은 1886년에 언더우드가 세운 구세학당(救世學堂) 보통부에 3년간 다녔습니다. 지금의 경신중고교와 연세대의 전신인 구세학당은 민로아(閔老雅, Frederick Scheiblin Miller, 1866-1937) 선교사가 교장을 맡아 ‘예수교학당’, ‘민로아학당’으로도 불렸죠.

도산선생은 이곳에서 서양 교육을 처음 받았으며 세례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어 드디어는 민족운동가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민로아 선교사는 도산 선생의 결혼식 주례도 해 주었다고 합니다.

민로아 선교사는 우리나라 찬송가 발전사에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는 장로교찬송가인 북장로회선교부 찬송가위원회 발행 1905년 판『찬셩시』제9판(제1판은 1895년 가사판)의 편집을 주도하였습니다.

이 찬송가는 언더우드의『찬양가』(1894)에 이어 두 번째로 출판된 악보찬송가로서의 가치와 함께 서문, 찬송가목록, 시편, 사도신경, 주기도문, 십계명, 색인(Index of First Lines, Index of Tunes) 등이 편집되어 있고, 특히 영문으로 된 서문(preface)에 당시 한국의 찬송가 상황과 『찬셩시』의 편찬과정, 번역자 등을 밝혀 이후 우리나라 찬송가 편찬의 좋은 보기를 보여줌으로 찬송가의 기틀을 마련해주었습니다.

1908년 장로교와 감리교 연합찬송가인 『찬숑가』를 출간할 때에도 베어드(Annie L. Baird) 여사와 함께 편집위원으로 활약했습니다.

찬송 시 ‘공중 나는 새를 보라’는 언더우드가 편집인으로 있던 초기 장로교 발행 신문 ‘그리스도 신문(The Christian News’ 1901년 6월 27일자에 발표되었습니다.

민로아 선교사가 우리말로 지은 찬송 시 중 ‘예수님은 누구인가’(96장), ‘주의 말씀 듣고서’(204장), ‘맘 가난한 사람’(427장), ‘예수 영광 버리사’(451장), ‘공중 나는 새를 보라’(588장) 등 우리 찬송가에 실린 다섯 편 모두 1905년 『찬셩시』에 나타난 것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곡명 ARMSTRONG의 작곡가는 웨일스의 카르마덴(Carmarthen) 태생인 리처드스(Henry Brinley Richards, 1817-1885)입니다. 그는 어려서부터 왕실음악아카데미(Royal Academy of Music)에서 공부한 후 작곡 교수가 되었습니다. 이 곡은 원래 1892년에 발행된 미국 장로교찬송가인 『새 찬양(The New Laudes Domini)』에 실려 있습니다.

우리 찬송가엔 임멜라(Emmelar)란 사람이 이 찬송을 편곡한 것처럼 되어 있으나, 미국찬송가엔 ‘임멜라에서 편곡됨(Arr. from EMMELAR)’으로 되어 있어 EMMELAR는 리처드스가 작곡한 곡명으로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전 기사2023 뉴질랜드 청년 코스타
다음 기사471호 라이프
김명엽
연세대 성악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서울시합창단 단장 겸 상임지휘자. 1960년부터 전국을 무대로 광범위하게 교회음악 활동을 하면서 김명엽의 찬송교실1-5을 예솔에서 출판했다. 이번 25회 연재를 통해 교회력에 맞추어 미리 2주씩 찬송가 두 곡씩을 편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