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천라이프

마음을 제어하는 지혜 . 수치로부터의 자유

마음을 제어하는 지혜

잠언 25:28
“자기의 마음을 제어하지 아니하는 자는 성읍이 무너지고 성벽이 없는 것과 같으니라”

“Like a city whose walls are broken down is a man who lacks self-control.”

우리가 사는 사회의 모습과 현상을 묘사하는 다양한 키워드가 있다. 철학자 한병철 교수는 현대 사회를 피로 사회, 성과 사회, 투명 사회, 통제 사회 등으로 표현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충동 사회(Impulsive Society)이다.

근시 사회의 저자 폴 로버츠는 현대인을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 인류’라 칭했다. 그는 한때 신중함과 화합, 미래에 대한 염려를 칭송하던 사회가 어느새 충동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근시안적인 사회가 되었다고 비판했다.

그렇다. 시선을 사로잡는 수많은 광고는 충동적 소비심리를 일으킨다. 해가 지날수록 충동 범죄는 증가하고 있다. 인생을 마라톤이 아닌 단거리 경기로 여기며 살아가는 세대로 변해가고 있다.

이런 풍조를 잘 나타내는 용어가 YOLO(You Only Live Once)다. 한 번뿐인 인생이니 후회하며 살지 말라는 긍정적인 해석도 가능하지만,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참지 말고 하고, 하기 싫은 것이 있으면 과감하게 포기하라는 메시지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보편적이다.

앞서 언급한 폴 로버츠는 사회가 이렇게 변모한 배경에는 종교나 가족처럼 자기 몰두를 막아주던 제도가 약해졌고, 일치와 화합을 배울 수 있는 건강한 공동체가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개인의 생각과 언행을 제어하고 사회를 보호하는 울타리들을 무작정 해체해 버렸으니 결국 남는 것은 아무런 보호장치도, 견제하고 통제할 존재가 없는 광야에 홀로 서 있는 “나” 밖에 없는 것이다.

오늘 잠언은 자기의 마음을 제어하지 않는 사람들, 곧 매사에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사람들은 무너진 성읍과 성벽 같다고 말한다. 성벽이 없고 무너진 성읍은 곧 황무지와 폐허다. 그 안에는 생명이 없다. 그렇기에 충동적으로 살아도 내면에 만족과 평안은 없고 늘 갈망과 불안만이 가득한 것이다. 이러한 사회의 흐름 속에서 생명의 근원이 되는 마음을 잘 지켜야 한다. 제어 당하는 것은 고통스럽고 답답하며 괴로울 수 있다. 자유를 빼앗겼다는 불편한 마음을 불러올 수 있지만, 제어는 모든 영역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마치 자동차의 브레이크와 같다.

브레이크가 고장 난 자동차는 자신 말고도 주변 사람들을 위험에 빠지게 만든다. 뉴스에 보도되는 급발진 사고들을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동시에 브레이크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는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엑셀만 작동하는 것 같다. 브레이크를 밟는 것은 실패요 도태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우리에겐 브레이크를 밟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스스로를 통제하고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토록 중요한 절제는 성령에 충만할 때 우리에게 주어진다. 갈라디아서에 기록된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 중 하나가 바로 절제다. 성령이 충만할 때 마음을 제어할 수 있고, 제어된 마음이 절제된 언행으로 열매 맺는다.

성도는 충동으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성령의 감동으로 사는 존재다. 이 땅에 세워진 모든 주의 대사들이 성령 충만함으로 절제할 수 있기를 바란다. 나아가, 이 사회를 변혁시키고 보호할 수 있는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애쓰길 부탁한다. 성령의 도우심으로 마음을 제어하는 이들의 가정, 교회, 학교 그리고 일터에 하나님의 평강과 형통이 임할 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수치로부터의 자유

시편 25:3
“주를 바라는 자들은 수치를 당하지 아니하려니와 까닭 없이 속이는 자들은 수치를 당하리이다”

“No one whose hope is in you will ever be put to shame, but they will be put to shame who are treacherous without excuse.”

전통적인 문화인류학에선 동양을 수치 문화(Shame based culture), 서양을 죄의 문화(Guilt based culture)로 구분한다. 물론 오늘날 대부분의 사회가 다문화적 형태로 변하면서 이 구분법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여전히 뿌리 깊게 남아있는 옛 문화와 전통은 무시할 수 없다. 명예에 대한 갈망과 수치에 대한 두려움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전자는 죄의 원인이 되었고 후자는 죄의 결과라 볼 수 있다. 하와는 선악과를 먹으면 하나님처럼 될 것이라는 뱀의 속임수에 넘어갔다. 선악과를 먹고 난 후 아담과 하와는 벌거벗었음을 인지하고 부끄러움을 느꼈다.

그때부터 원죄를 지닌 사람들은 모두 페르소나, 즉 가면을 쓰기 시작했다. 이렇게 시작된 수치심은 민 낯이 드러날 때 느끼는 감정이다. 지금껏 잘 감춰왔던 나의 추악한 모습이 공개될 때 폭발한다. 나를 보호하고 지지하던 명예를 상실했을 때 느끼는 감정이기도 하다.

시편 기자는 주를 바라는 자들은 수치를 당하지 않는다고 선언한다. 수치스러운 일을 겪지 않을 것이란 말일까? 아니다. 이는 하나님을 바랄 때, 수치의 근원인 명예에 대한 갈망과 수치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주어지는 자유와 해방을 뜻한다.

명예를 지키고 수치를 피하기 위해 사람이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길은 거짓이다. 남을 속이고, 나를 속이면 명예를 지켜낼 수 있다. 남에게 내 본 모습을 가리면 수치 당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진실은 드러난다. 사람 앞에서 드러나지 않을지언정 하나님 앞에서만큼은 반드시 드러난다. 이 진리를 알고 경외함으로 주를 바라는 자는 자신의 명예보다 하나님의 명성을 더 중시한다.

주를 바라는 자는 하나님 앞에서 민 낯을 드러내 보일 수 있는 사람이다. 예수님은 십자가에 달리셨다. 십자가는 최고로 수치스러운 형벌이다. 그러나 그는 십자가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셨다. 죄가 없으셨기 때문이다. 감추고 있는 것이 없으셨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 수치의 상징인 십자가를 사명으로 여기셨다.

주를 믿는 우리는 새로운 피조물이다. 죄와 수치로 가득한 옛사람의 옷을 벗어버리고 새사람의 옷과 정직과 순결의 옷을 즐거이 입길 바란다. <끝>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