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천라이프

비교는 아이에게 독약이다

대학원에서 알게 된 동생 중에 베트남에서 자란 K라는 밝은 아이가 있다. 그 아이는 주재원이셨던 아빠를 따라 어릴 때 하노이로 갔다.

19세기에 프랑스의 지배를 받아 곳곳에 프랑스의 잔재가 남아있는 베트남에서 K는 프랑스식 유치원에 다녔다고 한다. 학부모들의 수업 참관이 있던 날 K의 어머니는 교실에 전시된 그림을 둘러보며 딸의 그림을 찾았다. 그런데 K의 이름이 적힌 하얀 도화지 위에 그려진 것은 쭉 그은 선 하나. 그 연유를 묻자 선생님은 선 하나도 아이의 표현이고 작품이라며 그것을 존중하여 그대로 붙여 두었다고 대답했다 한다.

요즘은 많이 달라졌지만, 당시만 해도 한국에서 그런 식의 교육관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K의 어머니는 그날 깊은 인상을 받으셨다고 한다. K는 “언니, 나 그날 미술 시간이 기억나. 선생님이 그림을 그리라고 하는데 그날따라 그리기 싫어서 그냥 쭉 선 만 그었거든.”이라며 유치원 생활이 무척 재미있었다는 말을 했다. 비교가 아닌 존중이 기본이 된 유치원에서 첫 교육을 경험한 것은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그때 엄마가 “다른 애들은 다 잘도 그렸는데 넌 왜 선만 하나만 달랑 그어놨니? 다음부터는 더 잘해라.”라고 했으면 어땠을까? 선생님이 “엄마가 보실 거니까 여기 빈 공간 좀 채워 넣을래?”라고 하셨다면?

은율이 네 살 때의 일이 떠오른다. 또래 친구와 기관에 관심을 보여 어린이집에 등록시켰다. 며칠 잘 지내는 것 같았는데 선생님이 보내준 사진 속 은율이는 어두운 표정이었다. 2주일 정도가 지났을 때는 급속도로 흥미를 잃었고 심하게 울어 결국 그만두게 했다.

그동안 선생님과 작업했던 것을 책으로 받아 보게 되었는데, 그 속에 양 그림에 솜을 붙인 작품이 있었다. 그것을 본 은율이는 “어? 나 이날 엄마랑 헤어지고 울다가 이거 안 했는데?” 무슨 말인지 몰라 어리둥절하다가 이내 알아차렸다.

완성하지 못한 작품을 선생님이 마무리 지어준 것이다. 엄마들의 바람에 맞춘 선생님들의 선택이었다고 생각은 하지만 조금은 씁쓸한 기억이다.

비교당한 아이는 열등감과 우월감을 끝없이 방황한다
자존감을 가장 빠르고도 쉽게 망칠 수 있는 것이 비교다. 어떤 독성보다도 강하다. 아이가 내면에서 솟아난 동기로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남에게 끌려다니며 살아가게 하려면 비교하면 된다. 세상에는 나보다 잘난 사람들이 항상 있게 마련인데 어릴 때부터 비교를 당하면 아이는 무기력한 존재가 된다.

‘비교’가 치명적인 이유는 우월감과 열등감의 극단을 오가게 하는 데 있다. 결혼, 직업 등 인생의 중요한 선택을 앞두고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기보다 다른 이와 비교하며 선택지를 지워나가게 한다. 자녀에게 자극을 주기 위해 일부러 비교한다는 부모님들도 있다. 공부 잘하는 친구나 말 잘 듣는 형제와 비교하는 식이다. 하지만 부모의 바람과는 달리 결과는 정반대다. 그 이유는 비교당했을 때 우리 기분이 어떤 지를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어린 시절 비교로 인한 트라우마가 얼마나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지 다음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자. P라는 아기 엄마의 이야기다. 3남매의 둘째였던 그녀는 언니랑 동생이 공부를 잘한 탓에 늘 비교당했다. 본인도 잘하는 편이었지만 언니와 동생이 너무 뛰어났기 때문이다.

부모님의 비교로 인해 P의 자존감은 성인이 되어서도 바닥을 쳤다. 노력해서 어느 정도는 극복했지만 쓴 뿌리가 불현듯 올라온다고 말한다. 비교로 인한 불행을 자기 자식에게는 물려주지 않으려고 했지만 또래보다 발육이 늦은 아이를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며 자책하게 된다고 했다.

또 다른 지인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 엄마가 다른 친구와 비교하며 자신을 꾸짖었는데, 그때의 비참한 기분이 서른이 넘은 지금도 생생하다고 한다. 자식을 가장 사랑하는 엄마가 무심코 던진 말이 아이에게 평생의 올무가 된 것을 생각하면 우리는 입술에 파수꾼을 세워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비교당하지 않으면 비교하지 않는 어른이 된다
최근에 은율이가 미술학원에 다니게 되었다. 온몸에 물감을 묻히며 자유롭게 표현하는 수업이 많아 마음에 들었다. 수업 후, 아이들의 작품 설명을 듣는 시간이었다. 다른 아이들 도화지는 밑그림이 보이지 않게 까맣게 칠해져 있는 반면 은율이것만 하얀 밑그림이 다 보여서 어찌된 일인지 궁금했다.

밑그림을 그리고 까만색으로 덮은 후 날카로운 것으로 긁어내 컬러가 드러나게 하는 ‘스크래치 컬러링’ 수업이었는데 은율이 작품만 미완성이었다. 선생님은 웃으며 이야기해주었다.

“정성스럽게 그린 그림을 까만색으로 덮고 싶지 않대요. 그래서 그대로 놔두었어요.” 나 같으면 선생님이 무섭기도 하고 나만 다르다는 것이 불안해서 싫은 내색하지 않고 따라 한 후, 집에 와서 엄마에게만 속상한 마음을 터놓는 게 전부였을 것이다.

은율이가 남들이 다 검은색을 칠할 때 따라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들었다는 것과 선생님께 자신의 생각을 정확히 밝혔다는 사실이 대견했다. 무엇보다 자신을 남과 비교하지 않는 만큼 앞으로 다른 사람의 개성도 존중할 것이라는 생각에 양육의 보람마저 느꼈다.

‘비교’의 해악에 대해 쓰면서 친정 엄마가 떠올랐다. 삼남매를 키우시며 ‘누구네 애들은 공부를 이만큼 한다더라, 벌써 좋은 직장을 잡았다더라, 어려운 시험을 통과했다더라’는 말씀을 한 적이 없으셨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준비할 때였다.

자기소개서와 이력서를 쓰고 면접을 보러 다니느라 힘든 시간을 보냈다. 작은 자취방에서 A4 한 장에 그동안의 내 삶을 메마른 문장으로 적어 내려가는 일은 나를 무척 소진시켰다. 조금 쉬고 싶어 집에 내려갔을 때 엄마는 내가 좋아하는 음식을 해 주시며 말없이 격려해 주셨다.

내가 은율이를 남과 비교하지 않고 키울 수 있는 원동력이 있다면 그것은 내 몸이 기억하는 엄마에 대한 따뜻한 기억 때문일 것이다. 비교당하면서 상처받은 적이 없으니 자연스럽게 비교하지 않는 것이다. 비교를 통해 아이를 엄마의 틀에 맞추려 하면, 아이는 ‘착하게’ 자랄지 모르지만 결코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없다.

독약이 아닌, 세상을 치유할 약을 그 가슴에 품은 아이로 키워내자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