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천라이프

Satir의 경험적 가족 치료

새티어(Virginia Satir: 미국의 작가, 심리치료사, 의사소통전문가)의 가족 치료는 현상학적인 안목과 인간주의적인 입장에서 삶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로 내담자에게 희망과 용기와 가능성을 주는 것이다. 즉 그녀는 인간에 대한 존엄성과 존재 가치, 성장과 변화를 위한 인간의 욕구와 잠재력에 무한한 가능성과 동기를 제공해 주고자 하였다.

새티어는 인간의 잠재력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 잠재력을 발전시키고 실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상담의 가치 를 두었다. 경험적 성장 치료자인 새티어는 경험에 의해서 잠재력이 개발되고 강화될 때 성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의 이론은 자아심리학, 행동이론, 학습이론, 의사소통이론, 일반체계이론 등 다양한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1. Satir의 인간 이해
    ① 변화는 모든 사람에게 가능하다. 따라서 우리가 경험한 과거의 사건들을 변화시킬 수는 없지만 그 사건들로부터 우리가 받은 영향은 변화시킬 수 있다.
  2. ② 우리 모두는 어떤 문제에 대해 성공적으로 대처하고 성장할 수 있는 내적 자원 즉,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3. ③ 우리는 선택권자이며 상황에 반응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치료 목표는 내담자 자신이 자기 자신의 선택권자가 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4. ④ 우리 모두는 감정을 가지고 있고, 감정은 우리에게 속해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자신의 감정에 책임을 져야 한다.
  5. ⑤ 문제에 대한 대처 방식은 자존감 수준의 표현이며 자존감이 높을수록 대처 방식은 건전하다. 높은 자존감과 일치는 Satir모델의 주된 목표이다.
  6. ⑥ 과거에 대한 수용과 감사는 현재를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부모를 수용하는 것은 그들의 자아 정체감 형성과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서로 다른 상황과 문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우주적인 인간이기 때문에 치료는 병리보다는 건강성과 기능성에 초점을 둔다.
  7. Satir의 의사소통 유형
    회유형(placate)
    회유형의 사람들은 자기를 부인하며 다른 사람에게 자신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준다. 이들이 갖고 있는 내면의 주된 신념은 “나는 항상 좋은 사람이어야 한다.” “나는 모든 사람에게 칭찬을 받아야 한다.” 또는 “나는 가치가 없다.” 등이다. 즉 회유하는 사람은 자신의 감정보다 상대방에게 ‘예’라고 대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비난형(blame)
비난형의 사람은 지배적이며 다른 사람들을 무시하는 태도로 오로지 자기만을 생각하는 사람이다. 이로 인하여 그들은 적의를 가지고 잔소리하는 난폭한 폭군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의 내면에는 외로움과 불안으로 실패자라는 패배감을 갖고 있으며, 낮은 자기존중감이 깔려 있다. 새티어는 이들의 거친 비난은 도움을 요청하는 호소라고 지적한다.

초이성형(super-reasonable)
초이성형의 사람은 비인간적인 객관성과 논리성의 소유자들로서 지나치게 합리적으로 상황만을 중요시한다. 대화에서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거부하며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소통 패턴을 보인 다. 이들의 행동 패턴은 권위적이고 강박적이며 경직되어 있어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기를 두려워하거나 꺼려하는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난다.

산만형(irrelevant)
산만형의 사람은 지나치게 즐거워하거나 익살맞은 행동을 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혼란스럽다. 초이성형의 정반대 유형으로, 산만형은 대화시 주제를 자주 바꾸고 일관성이 없는 말들을 나열한다. 이들의 의사소통에는 자신도, 타인도, 그리고 상황도 그 내용에 존재하지 않는다.

일치형(congruent)
일치형의 사람은 자기 자신과 타인, 상황 모두를 존중하며 신뢰한다. 개인의 특성을 존중하고 자신의 내적, 외적 자원들을 사용하며, 이들의 대화는 개방적이다.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며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대화를 하려고 노력한다. 일치된 말과 일치된 정서를 사용하며, 일관성 있게 전달하고 선택한다.

  1. Satir의 건강한 가족
    ① 가족 구성원들은 관심과 온정, 부드러움을 경험한다.
    ② 가족 구성원들이 감정이입적이고 신뢰하며 솔직하다.
    ③ 서로의 개별성을 인정하고 다른 사람의 견해를 존중한다.
    ④ 서로 유머와 즐거움을 나눈다.
    ⑤ 상황에 따른 일치와 불일치에 대하여 솔직하다.
    ⑥ 가족 간의 대화가 직접적이다.
    ⑦ 자신에 대한 가치감을 갖고 서로 나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