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천라이프

복음이 세계관에 끼치는 영향

어느 기독교인이 고속도로에서 차를 타고 가다가 큰 사고를 당하였지만 다행히 생명에는 문제가 없었다. 만일 세속적인 자연주의적 세계관을 소유한 자들은 이런 경우에 ‘내가 운이 참 좋았지요’라고 반응했을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인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하나님, 감사합니다’라는 반응을 했을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 처했을 때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의 차이는, 우리 안에 존재하며 갈등하는 세계관적 가정들에서 유래한다.

예로서, 장차 하나님의 은혜로 인해 복음으로 남북통일이 된 후에 북한 주민에게 복음이 전파되어 전도된 북한 주민(이전에 주체사상 세계관을 소유)이 앞의 내용과 동일한 차 사고가 발생했을 때 과연 어떠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을까?

통일 후에 복음을 믿고 생활하는 북한 기독교인 주민들 가운데는 오랫동안 주체사상 의식으로 생활한 세계관으로 인하여 기독교적 가치들에 대한 통합이 약하기 때문에, 때로는 기독교적인 방식으로 반응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세속적인 자연주의적 방식으로 반응할 것이다. 이러한 가정들을 통하여 북한 주민의 세계관적 가정들 간의 갈등에 주목할 수 있게 된다.

세계관의 성격들
세계관은 그 가정에 대해 증명을 요구하지 않고 그냥 받아들이는 것이며, 가정들은 문화의 구조 속에 깊이 침잠해 있다. 표면적 차원의 관습들은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고 승인한 전제에서 유래한 행위적 행동이다.

이러한 가정들은 아주 설득력 있는 방식을 통해 새로운 세대에게 전해진다. 그리고 각 세대들에게 설득력 있게 가르쳐지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따라서 해당 사회의 구성원들이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기 삶의 경험을 이러한 가정들에 준해서 해석하게 된다.

‘생명’에 대한 어떤 사람의 정의를 살펴보면, 생명이란 잉태되는 순간에 시작된 것이라는 가정을 소유하고 있다. 반면 아프리카의 캄웨족은 인간은 생명이 태어난 지 대략 일 년 반에서 이 년이 지난 다음부터 시작한다고 믿는다.

히브리 민족을 포함하는 여러 민족은 단순한 생물학적 존재와는 반대되는 완전한 인간으로서의 생명은 어린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부터 시작된다고 본다.

북한의 어린이들은 김일성과 김정일을 ‘아버지’라고 부른다. 어릴 때부터 유치원에서 생활하며 김일성 주체사상을 교육받음으로 인해 어른이 되어서도 이 가정에 대해 증명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절대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의 세계관에 따라 삶과 경험을 조직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전체적 체계로 만든다. 그 몇몇 가정들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 한, 이 설명 체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만일 사람들이 중요시 여겼던 영역들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음이 알려지게 되면, 해당 사회 내에 광범위한 퇴폐 풍조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통일 후에 북한 주민들의 세계관에 큰 혼란이 발생할 것을 대비한 선교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세계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처하는 방식이 상이하여 그 결과가 정반대로 나타나는 실례가 있다.

베트남 전쟁 시 절대로 전쟁에서 지지 않는다는 세계관적 가정을 소유하고 있는 미국은 많은 군인을 투입하였지만 철수하게 되었다. 그러나 미국은 그들이 승리하지 못한 베트남 전쟁을 ‘경찰 행동’이라고 해석함으로써 그러한 패배가 자신들의 기존 가정들을 위협하지 못하도록 재해석해야만 했다.

이와 반대로 많은 아메리칸 인디언들은 자신들의 소유하고 있던 가정에 이의를 제기한다든지, 혹은 재해석을 하는 등의 시도를 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그들은 퇴폐화되었고 사라져 갔다.

복음에는 사람들의 가장 깊은 차원에 존재하는 세계관에 영향을 끼치고 변화시키려는 의도가 있다.
주체사상으로 인하여 전투 의식 세계관을 소유한 북한 주민들의 세계관 가정을 기독교 복음으로 재해석 함으로써, 성경에 기록된 ‘이웃을 사랑하고 영생을 소유하는 것’이 진정한 승리자라는 세계관으로 변화시키므로, 통일 후 북한 주민들의 생활에 정신문화 충격은 물론 문화적 압박을 이겨내므로 인생의 참 소망을 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종종 충돌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기독교적 가정들을 이웃 사회에 존재한 가정들과 융합하려 하곤 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문제들을 발견하고 치유하기 위한 시도를 할 때, 기독교에 대한 우리의 신앙으로부터 유래한 가정들과 이웃 사회 문화에서 유래한 가정들 모두에 대해 정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결국, 실제 삶에서는 사람들과 세계관이 함께 작용한다. 사람들과 세계관은 분리되어 따로 존재할 수 없다. 세계관적 가정들에 기초한 행위가 없이는, 사람들은 어떤 것도 말로 표현할 수 없고 행동할 수도 없다.

폴 히버트의 세 가지 차원으로서의 세계관을 고려하면, 사람은 세계관적 기준을 따르면서 인식적, 정서적, 가치 평가적으로 기능하는 존재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관의 기능들
첫째로, 사람들이 소유한 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개인주의적 사회에서는 아이들에게 자신들의 의지를 개인적으로 결단하라고 가르친다. 반면 조직 지향적인 사회에서는 아이들에게 자신의 의지력을 조직에 순응시키는데 사용하라고 가르친다. 결국 조직으로부터 떠나 헤매는 자는 반드시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말을 듣는다. 북한 주민은 조직 지향적인 세계관에 속한다.

둘째로, 감정 표현으로서 모든 사회는 감정의 사용을 구조화한다. 아무 때나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사회는 거의 없다. 몇몇 사회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많이 허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어떤 사회들, 특히 북한 사회는 감정 표현들을 매우 억제시킨다.

셋째로, 논리와 추론으로서 각기 다양한 사회에 속해 있는 사람들은 서로 다른 방식을 통해 추론한다. 서구인들은 직선적으로 추론하는 경향이 있어 논리적 기반으로 포괄적인 일반화를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는 반면, 아시안들은 나선형 화살 형식 추론 방식으로 이야기들을 연이어서 매우 자세하게 전개시킨다.

또한 세계관은 마음의 생각까지 변화시킨다. 어떤 사회는 대다수의 어린이들에게 대부분의 시간을 사물의 긍정적인 면을 보도록 교육할 것이다. 반면 다른 사회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부정적인 면에 주목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북한 사회는 어린이들에게 부정적인 면에 주목하여 이웃을 적으로 간주하여 교육을 하므로 이웃을 감시하고 경계하게 하는 경향을 소유하게 한다.

세계관의 기능에서 ‘충성심을 서약하는 경향들’이 있다. 세계관은 사람들의 충성심, 또는 헌신을 높이는 기반이 되는 지도를 제공한다. 충성심들 가운데 어떤 것에 우선적 가치를 두느냐 하는 것은 충성심을 느끼는 것들 중에서 우선적인 것을 선택해야 할 때 가장 분명해진다.

예를 들면, 통일 후에 복음을 영접한 어느 북한 주민이 주일 날 관습적으로 해오던 공동체 조직 일에 충성할 것인지 아니면 교회 일에 충성을 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 할 때 힘들어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가치, 혹은 실천에 대한 조직이나 개인의 충성심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변화를 거부하는 경향도 강해진다.

반면, 관습에 대해 불만족 한다든가, 아니면 다른 매력적인 대안을 발견하게 되면 기존의 관습에 대한 그들의 충성심은 약화될 것이고 변화에 대한 가능성에 좀 더 개방적이 될 것이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