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천라이프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다

뉴질랜드는 다문화 사회이다.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모여서 사는 곳이기 때문에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지만, 아직도 내가 초등학생 때 들었던 “칭총 차이나, 칭총챙총”하는 친구들의 장난 섞인 노래가 기억에 남아있다.

이방인으로 뉴질랜드에서 정착하며 살아간다는 것은 쉽지만은 않다. 1.5세대이기 때문에 뉴질랜드 문화에 익숙하지만, 어렸을 적 어렴풋한 기억과 부모님을 생각하면 다른 문화와 언어를 지닌 다른 나라에서 정착하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 같다.

한국에서 뉴질랜드로‘이주’하면서 겪은 어려움들이 있기 때문인지 어딘가에서 어디로 이주한 사람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더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마음이 내게 주어진 것 같다. 그래서 다문화 가정, 북한 이주민, 조선족 등 각 나라에 있는 디아스포라들에 대한 마음이 크다.

2000년대에 국제결혼이 급증하며 한국 사회 가운데 결혼 이주 여성의 수는 약 20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다문화 사회이긴 하나 한국 사회는 인종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라고 보긴 어렵다. 한국의 가부장적인 가족 구조 안에서‘여성’이라는 이유로 이주 여성들은 통제되고 고통을 당하고 있다.

이러한 인종 차별과 성차별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주 여성들은 한국 사회에서 고립되고 소외당한다. 이런 이주 여성들의 이야기가 궁금했다.

그래서 대전으로 내려가서 이주 여성 및 다문화 가정을 위해서 사역하는 교회와 연결되어 향초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한국말을 잘하는 분들과는 대화도 잘 통하고, 소통이 되었다. 하지만 극소수의 사람들일 뿐이었다. 대부분은 언어가 통하지 않아서 소통부터 어려웠고, 그 외에도 가정폭력 및 여러 가지 아픔들이 그들의 마음에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한 이주 여성은 가정폭력으로 인해 이혼소송에 들어갔지만, 이혼이 쉽지 않아 힘든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고 들었다. 이 이야기 안에만도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포되어 있었다.

첫 번째는 언어와 문화의 장벽이었다. 처음에 변호사를 선임했지만, 이주 여성의 이야기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 어려움이 있었고, 법정 다툼에서 패소했다.

두 번째는 사회적 지위에서 오는 억압이 존재했다. 그 여성은 이혼을 하고 아이를 데리고 가고 싶었지만, 남편이 법을 악용해 이혼해주지도 않고, 그렇다고 비자를 내주지도 않은 채 그 여성을 불법 거주자로 지내게 만들었다. 그런 상황이 되면 이주 여성들은 한국 사회에서 이도 저도 하지 못한 채 남편의 학대에 계속해서 노출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가 방문했던 대전 이주민센터에서는 이혼소송 가운데 있거나, 법적으로 싸움을 하고 있는 이주 여성들을 위한 변호사 선임 및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있었다.

한 단체가 모든 것을 할 수가 없다. 언어 교육, 문화 교육, 상담, 법적인 조언 등 종합적인 프로그램을 채택하고 싶어도 금전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쉽지가 않은 것이다.

우리가 섬기고 있는 노숙인들도 마찬가지다. 삶을 꾸려나가기 위한 최소한의 물품 및 경제적 지원, 자활, 상담, 교육 등등 종합적으로 그들을 도울 수 있는 자본이 뒷받침되는 프로그램이 있었으면 좋겠다.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지 못하더라도 각 단체가 한 부분씩 섬기면서 연합의 장이 이루어지기를 바래본다.

뉴질랜드는 다문화 사회이다. 많은 인종의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고, 매년 천 명의 난민자들을 받고 있다.

다양한 국가에서 워킹 홀리데이 비자를 받아 뉴질랜드를 방문하는 사람들의 수도 적지 않다. 노동 착취 등 이주자들을 향해 다양한 형태로 억압과 고통이 가해지고 있다.

우리는 이주자들이다. 그래서 이주자들의 마음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이 주어지는 것 같다. 우리 주변에 있는 한인들, 다른 인종의 사람들, 난민들, 섬나라 사람들, 이주 노동자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에서부터 좀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작은 움직임들이 시작될 수 있다.

어려움 가운데 있는 사람에게 어깨를 빌려주고, 이야기를 들어주고, 작은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것에서부터 시작해보자.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누군가가 나와 함께하고 있구나’에서 오는 위로가 있기에.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