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순간 순간에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에 지구촌 곳곳의 어린이들에게 친근 했던 크리스마스 철학이 있다. 성냥팔이 소녀(안데르센 지음)와 크리스마스캐롤(촬스 디킨슨 지음)이다.

그 시절 산골아이들의 심성을 영글게 했던 영양소이다. 순전한 마음마다 사랑의 하트를 그렸다. 불쌍하고 짠한 마음에 동정심의 모닥불을 지폈다.

메마른 그네들의 눈물샘을 적셨던 윤활유 였다. 선과 악을 구별 하게 해 준 생활의 규범이기도 했다. 이들의 동심을 자극하여 과거로 시간여행을 가능하게 해 주던 타임머신이다. 가난과 구태로 얼룩졌던 세태 속에서 희망을 꽃피웠던 시크릿 가든 이었다. 난로가에서 도란 도란 들려 주었던 선생님의 이야기는 이어진다.

새해를 하루 앞둔 밤이었지. 야위어서 볼품 없는 성냥팔이 소녀가 추운 거리를 걷고 있다. 때가 찌든 가방 안에는 팔지 못한 성냥이 가득하다. 성냥을 팔지 못하면 집에 갈 수도 없다. 추위에 손은 꽁꽁 얼었다. 어쩌냐. 넘 불쌍하지.

소녀는 어느 집 처마의 굴뚝 밑에 기대어 앉았다. 오늘따라 왜이리 춥고 배도 고픈지. 걸어갈 힘도 없다. 굴뚝 밑에 주저 앉은 소녀는 꽁꽁 언 손을 녹이려고 성냥 한 개비를 긋는다. 빨갛게 타오르는 불꽃이 아름다운 환상을 보여 준다.

첫 번째 성냥은 큰 난로가 되어서 활활 불꽃을 토해 낸다. 두 번째 성냥을 긋는다. 맛있게 차려진 음식이 가득한 식탁이 소녀 앞에 나타난다. 소녀는 넘넘 행복하다. 세 번째 네 번째 성냥불이 그어진다. 예쁜 크리스마스트리가 나타나고 불빛은 하늘로 하늘로 올라간다. 그 불빛을 따라서 올라가니까 그 불빛은 별이 되어서 반짝인다.

다음 성냥을 그어대니까 그 불빛 속에 인정 많은 할머니가 나타난다. 소녀는 너무 좋아서 신이 난다. 남은 성냥을 정신 없이 그어댄다. 불빛이 꺼지면 할머니가 가실 것만 같았다. 소녀는 할머니께 자신도 데려가 달라고 사정을 한다. 불빛 속의 할머니는 대답도 없이 미소만 보낸다.

소녀는 할머니를 계속 머무르게 하려고 성냥을 그어댄다. 가방 속의 성냥을 몽땅 써버렸다. 갑자기 사방이 밝아진다. 소녀는 할머니의 품에 안긴 채 하늘 높이 날아간다.

추운 밤이 지나고 아침이 밝았다. 굴뚝 밑에 어린 소녀가 죽어 있다. 입가에는 엷은 미소가 번져있다. 소녀가 어떤 아름다운 것을 보았는지. 소녀가 얼마나 축복을 받았는지. 할머니와 함께 즐거운 새해를 맞이하였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침을 삼키며 이야기를 듣던 아이들이 훌쩍인다.‘성냥팔이 소녀가 불쌍해’하며 운다. 요즈음 같으면 턱도 없는 광경이 그 시절에는 흔히 있었다. 난로 불에 발갛게 상기된 그네들이 천사처럼 이쁘다. 말갛게 영근 동심들이 아름다운 이야기를 듣고 소녀가 되고 소년이 되어 간다. 그리고 성년이 되었고 이제는 중 장년이 되었다.

시장 통을 거쳐가는 마을버스는 늘 승객들로 만원이다. 보따리 마다 주고 받은 정으로 차 안에는 웃음소리가 가득하다. 달리던 버스 안에서 갑자기 아기 울음소리가 요란하다. 그치겠지 했던 아기의 울음소리는 세 정거장을 거쳐 올 때 까지도 그칠 기미가 없다. 아기 울음에 짜증난 승객들이 여기저기서 불평과 불만을 쏟아낸다. 아기 엄마에 대한 원성으로 화난 표정들이 버스 안에 가득하다.

갑자기 차가 멈추어 선다. 다들 의아한 표정으로 버스기사만 바라본다. 버스기사가 일어서 문을 열고 나가서는 무언가를 사 들고 다시 버스에 오른다. 그리고는 성큼성큼 아이 엄마에게로 다가간다. 버스기사는 긴 막대사탕의 비닐을 벗겨 애기 입에 물려준다. 그제서야 아이는 울음을 그친다.

다시 버스는 출발을 한다. 버스 안은 그제서야 웃음이 번져 난다. 다음 정거장에서 내려야 하는 아이 엄마는 버스기사에게 다가와 고개를 숙인다.

‘손등에 다른 한 손’을 세워 보인다. “고맙습니다”라는 수화로 고마움을 표현한 아기 엄마는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청각 장애인 이었다.

아이 엄마가 내린 뒤 버스기사는 아주머니와 아이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사랑의 불빛을 멀리 비추어 준다. 누구 하나 “빨리 갑시다”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었다.

프레임 법칙이 있다. 똑같은 상황이라도 어떠한 틀을 가지고 상황을 해석 하느냐 이다. 이 틀에 따라서 사람들의 행동이 달라진다는 법칙이다. 자기의 고정관념에서 나오는 선입견이나 편견은 공동체 안에서 불협화음을 만든다.

자기 틀에 갇힌 사람들은 상대방을 배려함이 없다. 독도에서 부르는 홀로 아리랑이다. 모든 걸 자기 입장에서 자기중심적으로만 생각한다. 선입견(先入見)은 자신의 성찰이 없다. 자만이나 오만은 공동체 안에서 모든 오해와 분쟁의 불씨가 된다.

이전 기사영국생활 시작하기 2
다음 기사하늘과 호수를 잇는 구원의 징검다리
김일만
춘천교대와 단국대 사범대 졸업. 26년 간 교사. 예장(합동)에서 뉴질랜드 선교사로 파송 받아 밀알선교단 4-6대 단장으로 13년째 섬기며, 월드 사랑의선물나눔운동에서 정부의 보조와 지원이 닿지 않는 가정 및 작은 공동체에 후원의 손길 펴면서 지난해 1월부터 5메콩.어린이돕기로 캄보디아와 미얀마를 후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