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유 하생량’

서양 음악사상 최고의 작곡가이며 최고의 천재로 알려진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음악은 어느 나라나 지역에 국한되지도 않았고 그 장르에서도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 소나타, 오페라, 성악곡 등 거의 모든 부문에 걸쳐 위대한 작품들을 남겼습니다. 클래식 음악에 큰 관심이 없는 분들이라도 모차르트에 대해서는 모두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화요음악회에서 처음으로 모차르트를 듣기 시작하는 날 저는 ‘기생유 하생량(旣生瑜 何生亮)’이라고 외칠 수밖에 없었던 삼국지(三國志)의 주유 이야기부터 시작했습니다.

오나라의 주유(周瑜)는 문무(文武)를 겸비한 재능의 소유자였으며 대단한 지략가로 오나라 병권을 장악하고 있는 대도독의 지위에 있었지만 제갈량(諸葛亮 181-234, 자는 孔明)과의 경쟁에서는 번번이 졌고 이것이 병이 되어 요절했습니다.
결국 화병으로 죽으면서 그는 하늘을 우러러 ‘기생유 하생량(旣生瑜 何生亮)’ 즉 “하늘이시여! 이미 주유를 낳았으면 어찌하여 또 제갈량을 낳았습니까?”라고 부르짖었습니다.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에서의 안토니오 살리에리(Antonio Salieri 1750-1825)
이 이야기를 한 이유는 우리가 잘 아는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에서의 안토니오 살리에리(Antonio Salieri 1750-1825)의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살리에리는 당시 사람들로부터 찬사를 받던 음악가였습니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오페라, 실내악, 종교음악으로 착실하게 명성을 쌓았으며 1788년에는 궁정 음악가로 임명 받아 거의 죽을 때까지 그 지위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보다 6살 아래인 모차르트의 출현과 더불어 열등감을 느낀 그가 “신이여! 당신은 왜 모차르트에게만 천재성을 부여하시고 나 살리에리에게는 그토록 평범한 것만 주셨나이까?”라고 신을 향하여 처절한 절규를 하는 모습이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나옵니다.

살리에리와 모차르트의 운명이 마치 삼국지에서 주유와 제갈량의 운명과 방불하기에 제가 ‘기생유 하생량(旣生瑜 何生亮)’이야기를 한 것입니다.
모차르트의 음악을 듣기 시작한 첫날 화요음악회에서는 그의 마지막 교향곡인 주피터(Jupiter)를 들었습니다.

Mozart: 교향곡 41번C 장조 KV551 Jupiter
모차르트는 모두 41개의 교향곡을 작곡했습니다. 천재중의 천재인 모차르트는 10살도 안 된 어린 나이로부터 교향곡을 작곡하기 시작해서 이렇게 많은 교향곡을 작곡했으며 모두가 훌륭한 작품들입니다.

그 중에서도 후기 교향곡들 중의 마지막 곡들인 39번, 40번, 41번은 흔히 3대 교향곡이라 불려지며 모차르트의 천재를 말할 때 항시 거론되는 곡들입니다. 이 곡을 작곡할 때 모차르트는 빈에서 가난에 시달리며 고통스러운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 어려움 속에서도 그는 이 3곡의 걸작 교향곡들을 불과 두 달 내에 완성했습니다.

1788년 6월 20일에 39번이 완성된 뒤 7월25일에 40번을 완성했고, 8월10일에 마지막 41번을 완성했습니다. 더구나 이 세 곡은 그 내용과 형식이 모두 다릅니다. 기쁨과 행복이 드러나는 39번, 고뇌와 사랑의 괴로움이 묻어 나오는 40번, 그리고 드디어 모차르트가 다다른 천상적인 음악 세계를 담고 있는 41번 교향곡입니다.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클래식 1001곡’에서는 이 곡에 대한 설명을 이렇게 시작합니다. ‘모차르트의 마지막 교향곡의 이름으로 잘 알려진 주피터(Jupiter)는 그가 지은 이름이 아니다(19세기의 출판업자인 Johann Baptist Cramer가 지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이름은 이 곡의 올림피아 신과 같은 성격에 어울린다. 이 곡을 시작하는 광활하고 위엄 있는 총주(總奏 tutti)를 들으면 곧장 이를 수긍할 수 있다.’

불과16일 만에 완성되었다는 모차르트의 교향곡 주피터(Jupiter)는 그의 마지막 교향곡이자 최대의 걸작이며 그 이름에 걸맞게 특출한 작품으로 모차르트의 기악곡 가운데 최고봉을 이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곡의 피날레는 모두가 감탄하는 위대한 음향을 구축하며 끝납니다.

그러나 이렇게 훌륭한 곡이 그의 생전에 연주되지 못했는데 이는 당시 단순한 즐거움을 위해 음악을 듣던 청중들에게 이 곡은 너무나 심오했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모차르트 사후에야 이 곡의 진가가 알려지기 시작했다니 참으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칼 바르트의 모차르트 사랑
모차르트를 그렇게도 좋아했던 신학자 칼 바르트는 그의 저서 모차르트의 이야기 중에서 ‘나는 천사들이 하나님의 존전에서 바하만을 연주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내가 확신하는 바는 천사들이 저희끼리 있을 때는 모차르트를 연주한다는 것이고 사랑의 하나님께서도 그 음악을 기꺼이 들으신 다는 것입니다,’라고 썼습니다.
과연 모차르트의 음악이 어떻기에 칼 바르트도 천사도, 그리고 하나님까지도 경청하셨는지 오늘 그의 교향곡 주피터를 들으면서 알아보겠습니다.
Bruno Walter지휘 Columbia 관현악단의 연주, George Szell 지휘 Cleveland 관현악단의 연주 등이 모두 명연이지만 이 곡만을 다섯 번 이상 녹음한 명장 Karl Bohm이 지휘한 Berlin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오늘 감상하겠습니다.

1악장 Allegro vivace 총주(總奏 tutti)로 시작되는 찬란한 제1주제의 선율이 이윽고 우아한 제2주제의 선율로 바뀝니다.
2악장 Andante cantabile 소나타 형식의 평화로운 안식의 노래 3악장 Menuetto: Allegretto – Trio 장려하면서도 유머러스한 궁정의 연회와 같은 악장
4악장 Molto allegro 영국의 음악저술가‘그로브(George Grove)’는 이 마지막 악장에 모차르트가 결집한 모든 힘이 녹아있다고 했습니다. 후가와 소나타 양식이 융합된 모차르트의 독창적인 수법이 빛나는 악장입니다.

아이큐가 200이 넘었다고 하는 모차르트도 그 삶이 행복하지는 못했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의 아이큐 평균은 100이어서 모차르트의 반밖에 안 되지만 하나님께서 주신 달란트(talent)를 감사한 마음으로 충실하게 살아가면 오히려 보람 있는 삶이 아닐까 합니다.
음악 감상을 마치고 하나님 말씀을 같이 보았습니다.

마태복음 25장 19-23절

  1. 오랜 후에 그 종들의 주인이 돌아와 그들과 결산할새
  2. 다섯 달란트 받았던 자는 다섯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내게 다섯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다섯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3. 그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 하고
  4. 두 달란트 받았던 자도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내게 두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두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5. 그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적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할지어다 주님께서는“다섯 달란트를 남겼는가, 두 달란트를 남겼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맡겨진 일에 충성했나 못했나가 중요하다”고 가르쳐 주십니다. 우리도 주어진 일에 충성하며 살아가는 모두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